[고전산문] 우물 안의 개구리

공손룡(公孫龍)이 위(魏)의 공자(公子) 모(牟)에게 물었다. “나는 어려서부터 선왕(先王)의 도(道)를 배우고 자라서는 인의(仁義)의 행위에 밝게 되었습니다. 사물의 동(同)과 이(異)를 조화시키거나(백마비마론) 돌의 굳은 것과 흰 것을 변별시키고(견백이동론), 세상에서 흔히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것을 그렇다고 하고 세상에서 흔히 옳지 않다고 하는 것을 옳다고 하여 많은 학자들의 지식을 곤혹스럽게 하고 뭇사람들의 변론을 궁지에 몰아넣었습니다. 그리하여 나는 스스로 최고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생각해 왔던 것입니다.


그런데 나는 지금 장자(莊子)의 말을 듣고는 멍해진 채 무엇이 무엇인지 모르게 되어 버렸습니다. 알 수 없군요. 나의 의논(議論)이 그에게 미치지 못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나의 지식이 그에게 미치지 못하는 것인가요? 지금 나는 입도 벌릴 수 없을 정도입니다. 감히 묻겠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공자(公子) 모(牟)는 팔뚝을 안석에 기댄 채 한숨을 깊이 쉬고는 하늘을 우러러 웃으면서 말했다. “그대는 저 우물 안 개구리 이야기를 듣지 못하였는가. 그 개구리는 동해 바다에 사는 자라에게 이렇게 말했다네. 


‘아 즐겁구나. 나는 우물 밖으로 튀어나와서는 우물 난간 위에서 깡충 뛰놀다가 우물 안으로 들어와서는 깨어진 벽돌 끝에서 쉬곤 한다. 물에 들어가서는 두 겨드랑이를 물에 찰싹 붙인 채 턱을 지탱하고 진흙을 찰 때는 발이 빠져 발등까지 잠겨 버리지. 장구벌레와 게와 올챙이를 두루 돌아봄에 나만 한 것이 없다네. 게다가 구덩이 물을 온통 독점하며 우물 안의 즐거움을 내 멋대로 한다는 것, 이 또한 최고일세. 그대도 이따금 와서 들어와 보지 아니하겠는가.’


동해의 자라는 그 말을 듣고 우물 속에 들어가려 하였으나 왼발이 채 들어가기 전에 오른쪽 무릎이 벌써 우물에 꽉 끼여버렸다네. 그래서 망설이다 뒤로 물러나서는 개구리에게 바다의 이야기를 해주었다네.


 ‘대저 바다는 천리의 넓이를 가지고도 그 크기를 표현할 수 없고 천 길의 높이로도 그 깊이를 다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다. 하(夏)의 우(禹)임금 때에는 10년 동안에 아홉 번이나 홍수가 났지만 그래도 바닷물이 더 불어나지는 않았지. 또 은(殷)의 탕(湯)임금 때에는 8년 동안에 일곱 번이나 가뭄이 들었지만 그래도 바닷가의 水位가 더 내려가는 일은 없었다네. 시간의 장단(長短)에 좌우되는 일도 없고 강우량(降雨量)의 다소(多少)로 물이 증감(增減)되지 않는 것, 이것이 또한 동해의 커다란 즐거움이라네.’


우물 안 개구리는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라고 너무 당황해서 무엇이 무엇인지 모르게 되어버렸다네.”


“게다가 그대가 시(是)와 비(非)를 구별할 만한 지력(知力)도 가지고 있지 못한 주제에 장자(莊子)의 말을 이해하려고 한다면 이는 마치 모기에게 산(山)을 짊어지게 한다거나 노래기에게 황하(黃河)를 건너게 하는 것과 같아서 감당할 수 없음은 말할 것도 없네. 게다가 또한 근원적(根源的)이고 영묘(靈妙)한 철학을 논할 만한 지혜도 없는 주제에 일시적인 이(利)로움에 자기만족(自己滿足)하는 자는 저 우물 안의 개구리와 무엇이 다르겠는가(非埳井之鼃與).


또한 저 장자(莊子)는 이제 땅속의 황천(黃泉)에까지 발을 들여놓고 하늘 끝 대황(大皇)에까지 오르려 하고 있네. 남쪽도 북쪽도 없이 거침없이 사방팔방으로 자기를 해방하여 짐작할 수도 없는 심원(深遠)한 경지에 침잠(沈潛)하고, 동쪽도 서쪽도 없이 유현(幽玄, 헤아릴수 없을만큼 깊음)한 면합(冥合, 깊이를 알수 없는 심오함이 합하여 하나를 이룸)의 경지로부터 시작해서 자유무애(自由無碍)로 소통하는 대도(大道)로 돌아가는 사람이네. 


그런데 자네는 정신없이 자질구레한 지혜 분별로 그를 찾으려 하고 쓸모없는 변론으로 그를 잡으려 하고 있네. 이것은 다만 가느다란 대롱구멍으로 하늘을 엿보고 송곳을 땅에 꽂고 대지(大地)의 깊이를 측량하려는 짓(用管闚天 용관규천 用錐指地 용추지지)이니 참으로 작은 소견이 아니겠는가. 자네는 어서 돌아가게.


또 자네도 저 수릉(壽陵)의 젊은이가 조(趙)나라 서울 한단(邯鄲)에 가서 대도시 풍(大都市風) 걸음걸이를 배웠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겠지. 이 젊은이는 대도시 풍 걸음걸이를 미처 배우기도 전에 또 그 옛 걸음걸이마저 잊어버렸으므로 결국에 오직 기어서 고향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고 하네. 


이제 그대도 얼른 여기를 떠나지 않으면 장자의 철학을 체득(體得)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대 자신의 지금까지의 지식도 잊어버리고 그대 자신의 학업(學業)마저도 잃어버리고 말 것일세.”


공손룡(公孫龍)은 열린 입이 닫혀지지도 않고 올라간 혀를 내려오게 하지도 못한 채 이윽고 뒤돌아보지 않고 달아났다.


※[역주]

1. 공손룡(公孫龍) : 조(趙)의 평원군(平原君)에게 벼슬한 학자. 혜시(惠施)와 함께 중국 고대 명가(名家, 논리학파)의 대표적인 인물. ≪公孫龍子≫ 6편이 현존(現存)하나 원저(原著) 그대로는 아닐 것임. 후인(後人)의 손이 가(加)해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장자(莊子), 第17篇 추수(秋水) 第5章-


▲번역글출처:전통문화연구회/동양고전종합DB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