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사람의 습관과 편견이 옳고 그름의 분변을 좌우한다

내가 하는 말은 다른 사물에 가탁(假託 어떤 사물을 빌려 감정이나 사상 따위를 표현하는 일)해서 서술하는 우언(寓言)이 열 가지 중에 아홉 가지 정도이고, 세상 사람들이 중시하는 인물의 말을 빌려 무게를 더한 중언(重言)이 열 가지 중에 일곱 가지 정도이다. 


또 앞뒤가 맞지 않는 엉터리 같은 치언(巵言 편의에 따라 대처하는 말)*이 날마다 입에서 나오지만 이 치언은 구별을 없애주는 자연의 작용인 천예(天倪, 하늘의 가장자리 즉 구별과 경계가 없는 상태, 다시 말하자면 갓 태어난 아이처럼 자연 그대로 의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조화시킨다.


열 가지 중 아홉 가지를 차지하는 우언(寓言)이란 밖에서 일어난 일을 빌려와 무엇인가를 논하는 것이다. 친아버지는 자기 자식을 위해서 중매를 하지 않으니, 친아버지가 자기 자식을 칭찬하는 것이 아버지 아닌 다른 사람이 칭찬하는 것만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내가 이처럼 우언을 쓰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나에게 그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 사람들에게 그 책임이 있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우언을 빌리지 않고 직접 말하면 그것이 자기 의견과 같으면 따르고 자기 의견과 같지 않으면 반대한다. 자기와 같은 의견이면 옳다 하고 자기와 다른 의견이면 그르다고 비난한다.


열 가지 중 일곱 가지 정도를 차지하는 중언(重言)은 사람들의 말을 마무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연로한 사람의 말이다. 그러나 나이는 앞서 있지만 그 말의 줄거리(經緯)와 순서(本末)가 연로자(年老者)에 합당함이 없는 사람은 참다운 의미의 선인(先人, 앞서 산 사람)이 아니다. 나이 먹은 사람으로서 앞서서 사람들을 인도할 자질이 없으면 사람다운 도리가 없는 것이고 나이 먹은 사람으로서 사람다운 도리가 없다면 이런 사람을 일러 '늙어빠진 사람'(陳人)*이라고 한다.


치언(巵言)이 매일 나오는데 구별을 없애주는 자연의 작용인 천예(天倪)로 조화시켜 경계 없는 도를 따르게 하는 것은 제동(齊同, 질서와 조화를 이룸이 한결같음)한 만물과 함께 생명을 다 살기 위한 방법이다. 말을 하지 않을 때는 차별이 아직 나타나지 않아서 만물이 가지런하고, 가지런한 만물은 '가지런하다'는 말 때문에 가지런하지 않게 되고 '가지런하다'는 말은 가지런한 만물과 가지런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말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말을 하면서 말이 없으면 평생 말하더라도 실은 아무 것도 말하지 않은 것이며, 거꾸로 평생 말하지 않더라도 실은 말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 나름대로 근거하는 데가 있어 ‘옳다’고 주장하며, 근거하는 데가 있어 ‘옳지 않다’고 주장하며, 근거하는 데가 있어 ‘그렇다’고 하며, 근거하는 데가 있어 ‘그렇지 않다’고 한다. 


무엇을 근거로 '그렇다'고 하는가. 습관과 편견이 '그렇다'고 하는 데서 '그렇다'고 하는 것이며, 무엇을 근거로 그렇지 않다고 하는가. 습관과 편견이 '그렇지 않다'고 하는 데서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것이다. 무엇을 근거로 옳다고 하는가. 습관과 편견이 옳다고 하는 데서 '옳다'고 하는 것이며, 무엇을 근거로 옳지 않다고 하는가. 습관과 편견이 '옳지 않다'고 하는 데서 '옳지 않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물제동(萬物齊同, 만물이 제 각기 그 옳은 바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동일한 일체의 상태로 질서와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 의 커다란 긍정(肯定)의 세계에서는 모든 물(物, 사물, 만물)은 진실로 그러한 것이 있으며 모든 물(物)은 옳은 것이 있으니 어떤 물(物)이든 그렇지 않은 것이 없으며 어떤 물(物)이든 옳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니 앞뒤가 맞지 않는 엉터리 같지만 구속됨이 없는 자유자재의 치언(巵言)이 날마다 나와 자연의 작용인 천예(天倪)로 조화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 누가 제동(齊同)의 만물과 일체가 되어 오래갈 수 있겠는가. 


하나하나의 만물은 모두 자기 안에 새 생명을 잉태하고 있는 씨이다. 각기 모양이 다른 사물에서 사물로 전생(轉生 다른 형태로 다시 태어남)하니 사물의 생사시졸(生死始卒 삶과 죽음 시작과 끝)가 둥근 고리와 같아서 그 순환의 도리를 아무도 알 수 없다(一物의 生=他物의 死, 一物의 死=他物의 生). 이를 일러 천균(天均, 주어진 자연의 상태 그대로 저절로 공평하고 균등함을 이루는 것)*이라고 하니 천균은 바로 천예(天倪)이다.


-장자(莊子), 第27篇 우언(寓言) 第1章(안병주 역)-


▲글출처: 전통문화연구회/동양고전종합DB


※[역주]

1. 치언(巵言) : 치언은 앞뒤가 맞지 않는 엉터리 같은 말. 巵는 ‘술잔 치’. 巵言은 술잔이 가득 차면 기울고 텅 비면 위를 보게 되는 것(滿則傾 空則仰)처럼 앞뒤가 맞지 않고 자유롭게 변화하는 말을 뜻한다. 그런데 巵를 둥근 술그릇으로 보는 견해와, 支와 같은 음으로 보고 支離의 뜻으로 보는 견해가 엇갈린다. 陸德明은 巵를 술그릇으로 보고 “둥근 술그릇이다[圓酒器].”라고 풀이했는데, 司馬彪는 이와 달리 巵言은 “지리멸렬하여 두서가 없는 말을 이름이다[謂支離無首尾言也].”라고 풀이했다. 여기서는 일단 陸德明처럼 술잔으로 보는 견해와 司馬彪가 支離라고 말한 것을 종합하여 번역하였다. 郭象은 “巵는 가득 차면 기울고 텅 비면 주둥이가 위를 쳐다보게 된다[夫巵 滿則傾 空則仰].”라고 풀이하여 술그릇으로 보았다. 成玄英도 “巵는 술그릇이다[巵 酒器也].”라고 풀이했다. 日出은 날마다 입에서 나온다는 뜻. 成玄英은 “日出은 日新과 같다[日出 猶日新也].”라고 풀이했다.

2. 천예(天倪): 天倪는 구별을 없애주는 자연의 작용, 자연의 道로 조화시킨다는 뜻. 天倪는 자연의 道를 뜻하며 道에 의한 구분, 곧 절대적 규정을 의미한다. 郭象은 “天倪란 自然의 分이다[天倪者 自然之分也].”라고 풀이했다. 〈齊物論〉편에 이미 ‘和之以天倪’라고 하여 비슷한 표현이 나왔다.

3. 늙어빠진 사람(陳人) : 이런 사람을 일러 늙어빠진 사람이라고 함. 陳은 陳腐의 陳과 같다. 따라서 ‘陳人’은 ‘늙어빠진 사람’, ‘진부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郭象은 “단지 오래된 사람일 뿐이다[直是陳久之人耳].”라고 풀이하여 ‘나이만 먹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풀이했다.

4. 천균(天均): 天均은 저절로 균등해지는 이치. 成玄英은 “자연히 균등해지는 이치이다[自然均平之理也]”라고 풀이했다. 〈齊物論〉편 제2장과 〈庚桑楚〉편 제4장에는 天鈞으로 나왔다. 天倪는 ‘자연의 道’로 이 장 앞부분에서 이미 풀이했다.


※옮긴이 사족: 장자의 마지막 편인 천하편(天下)에서 치언, 중언, 우언을 구체적으로 왜 사용되었는지를 부연설명하는 글이 결론처럼 다시 나온다. 말하기를, "천하 사람들이 혼탁함에 빠져 함께 바른 이야기를 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 치언(巵言)으로 자연의 끝없는 변화에 순응케 하고, 중언(重言)으로 진실을 깨닫게 하고, 우언(寓言)으로 우주의 광대함을 깨닫게 하였다."(제6장). 즉 나름 풀어보자면, "치언은 터무니없고 황당한 말같지만 치언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거기에 지헤롭고 현명한 현인들의 중언으로 그 진실성을 더하고, 세상만물에 빗댄 우언으로 구체적으로 그것이 올바른 세상이치요, 순리임을 깨닫게 하였다. 그 이유는 세상 사람들이 혼탁함에 젖어 있기때문이다. 그래서 비록 올바른 말이라할지라도 자기 습관과 편견에 빠져 귀기울이지 않을뿐만 아니라 제대로 전달되지도 않은 까닭이다."라고 나름 이해해 본다. 어찌보면 이는 올바른 생각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글쓰기의 고전적인 방법론으로 삼아도 될만하겠다. 장자에 의하면, 세상이치와 순리는 조화와 질서(천예) 그리고 차별이나 구별이 없는 공평하고 균등함(천균) 그리고 한결같음(만물제동)에 그 요체가 있다. 돌이켜 보면, 나를 포함해서 보통 사람들이 일상의 습관과 편견을 따라 읊어대는 치언과 자청타청 대단한 사람들, 성인과 현인들의 중언은 서로 엉겨붙어 온 천지에 난무한다. 그런데 막상 우언으로 사물의 실제, 삶의 실상에 적용시켜보면 진정과 진실됨이 우러나와 가슴으로 깊이 느껴지는, 천균과 천예에 해당되는, 말과 글은 참으로 귀하다 하겠다. 하물며 사람은 오죽하랴...(2017.4.23)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