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황련(黃連)한 짐을 먹고 나야만 비로소 단 것을 말할 수 있다 / 이덕무

좋은 말도 지리하면 듣는 사람이 오히려 싫어하는데 하물며 나쁜 말을 많이 함에랴? 남을 ‘이놈, 저놈’이니 ‘이물건, 저물건’이니 하고 칭하지 말고 아무리 비천한 자일지라도 화가 난다 해서 ‘도적’이니 ‘개돼지’니 ‘원수’니 하고 칭하지 말며, 또는 ‘죽일 놈’이니 ‘왜 죽지 않는가’느니 하고 꾸짖지도 말라. 한 가지 일이 뜻처럼 되지 않는다 해서 성을 왈칵 내어 나는 죽어야 한다느니, 저 사람을 죽여야 한다느니, 이놈의 천지 무너져야 한다느니, 이놈의 국가 패망하라느니, 떠돌아 다니며 빌어먹는다느니 하는 따위의 막말을 해서는 안 된다. 경박스러운 말이 입에서 튀어나오려 하거든 빨리 흉중을 짓눌러서 입 밖에 튀어 나오지 말게 하라. 남에게 모욕을 받고 피해가 따르게 될 터이니 어찌 두렵지 않은가? 남의 ..

[고전산문] 사람들의 병폐 두 가지 / 이덕무

재주 있고 경박한 사람은 기교(機巧)를 부림이 간사하고 천박하며, 어리석고 둔한 사람은 기교를 부림이 간휼하고 노골적이기 때문에, 군자들의 안목을 벗어나지 못하지만, 그 중에 혹 간사하면서도 음침하거나 간휼하면서도 비밀스러우면, 이런 사람은 못할 짓이 없는 것이다. 아아, 고금에 기교 부리지 않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는지. 옛사람들은 자기의 재질을 부릴 줄 알았으나 후세 사람들은 오직 자기 재주의 부림을 받는다. 자기 재질을 부리는 사람은 마땅히 쓸 데다 써먹고 또한 그만두어야 할 적엔 그만두지만, 재주의 부림을 받게 되면 한없이 날리어 하지 못할 것이 없으니 두려운 일이다. 사람들의 병폐는 부박(浮薄, 천박하고 경솔함)하지 않으면 반드시 융통성이 없는 법인데, 두고 보건대, 이 두 가지를 면한 사람이..

[고전산문] 사람이 개만도 못한 점 / 성대중

사람이 짐승만 못한 점이 많다. 짐승은 교미하는 데 때를 가리지만 사람은 때를 가리지 않는다. 짐승은 같은 무리가 죽은 걸 보면 슬퍼하지만 사람은 남을 죽이고도 통쾌히 여기는 자가 있고, 간혹 남의 화를 요행으로 여겨 그 지위를 빼앗기도 하니 짐승이라면 이런 짓을 하겠는가. 화가 되돌아오는 것은 당연하다. 개는 사람이 뒷간에 올라가는 것을 보면 곧바로 몰려들어 사람이 대변보기를 기다렸다가 재빠른 놈은 먼저 달려들고 약한 놈은 움츠린다. 화가 나면 서로 물어뜯고 즐거우면 서로 핥아 대기도 하는데 다투는 것은 오직 먹이 때문이다. 그 모습을 보고 누군들 추하게 여겨 비웃지 않겠는가. 그러나 사람이 밥그릇을 다투는 것도 개와 다를 바가 거의 없으니, 엄자릉(嚴子陵 엄광(嚴光))*이나 소 강절(邵康節)*이 살아..

[고전산문] 평생토록 독서를 한 이유 / 허목

노인이 재능과 지혜가 낮아 평생 독서를 하였는데, 책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부족함을 보충하려고 노력한 것이다. 또 세속의 글을 좋아하지 않고 삼대(三代) 때의 고문(古文)을 즐겨 읽었으나 끝내 소득은 없고 좋아하는 것만 여전하였다. 아래로 좌씨(左氏, 춘추좌씨전), 《국어(國語)》, 《전국장단서(戰國長短書)》, 선진(先秦) 시대의 책, 서한(西漢, 반고가 편찬한 전한의 역사를 서술한 역사서인 한서(漢書)), 태사공(太史公, 사마천), 상여(相如, 사마상여), 양웅(揚雄), 그리고 제자백가의 책들까지 두루 읽었으며, 또 그 아래로는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의 글이 가장 고문에 가까워서 60세가 되도록 1만 몇 천 번씩을 읽었다. 〈우서(虞書)〉와 〈하서(夏書)〉의 광대하고 시원스러운 글은 따라갈 수 없..

[고전산문] 좋은 문장은 흉내를 낸다고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최한기

경험과 추측으로 천인(天人)의 대도(大道)와 사물(事物)의 소도(小道)를 알았더라도 언어(言語)로써 표현(表現)하지 아니하면 다른 사람들이 어찌 들을 수 있으며, 문장으로 저술하지 아니하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볼 수 있겠는가? 옛 문장은 도(道)를 내포(內包)시켜 문사(文辭)를 이루고 바탕[質]을 말미암아 문채를 이루었는데, 중고(中古)의 문장은 남의 글귀를 주워모아 허영(虛影)을 얽고 고금을 종횡하며 정령(精靈, 본질적인 것, 즉 핵심)을 휘날리지만, 문채를 내려다가 도리어 덕(德)을 상실하고 혁신(革新)에만 치우쳐 실다움이 없게 되었다. 후세의 문장을 배우는 사람은 반드시 하늘의 문장과 땅의 문장과 인물의 문장에서 살아 움직이는 운화기(運化氣, 천하만물이 서로 반응하고 영향력을 주고 받으며 화합하고..

[고전산문] 인( 仁) 또는 의(義)라는 이름이 성립하려면/ 정약용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이름은 일이 행위로 실천된 이후에 성립한다. 사람들을 사랑하는 행위가 있고 나서 비로소 그것을 인(仁)하다고 부를 수 있기때문이다. 사람을 사랑하기 이전에는 인(仁)이라는 이름이 성립되지 않는다. 나를 선하게 하고 나서 이를 행동으로 실천한 것을 두고 의롭다고 한다. 나를 선하게 하기 전에는 의(義)라는 이름이 성립하지 않는다. 주인과 손님이 서로 절하는 행동이 있고 나서 비로소 예(禮,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할 도리와 질서)라는 이름이 성립한다. 여러 현상과 사물에 대한 분별이 뚜렷하고 명확해진 다음에 지(智, 지혜 지)라는 이름이 성립한다. 이런즉, 마치 복숭아씨나 살구씨처럼 어떻게 인의예지라는 네 가지의 알맹이가 사람의 마음속에 이미 잠재하고 있다고 하겠는가? 안연이 공자에게 인..

[고전산문] 도(道)란 길을 가는 것과 같다 / 박지원

무릇 도(道)란 길과 같으니, 청컨대 길을 들어 비유해 보겠다. 동서남북 각처로 가는 나그네는 반드시 먼저 목적지까지 노정이 몇 리나 되고, 필요한 양식이 얼마나 되며, 거쳐가는 정자ㆍ나루ㆍ역참ㆍ봉후(烽堠, 봉화가 있는 보루, 즉 주요 거점)의 거리와 차례를 자세히 물어 눈으로 보듯 훤히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런 뒤에야 다리로 실지(實地, 실제하는 땅)를 밟고 평소의 발걸음으로 평탄한 길을 가는 법이다. 먼저 분명히 알고 있었으므로, 바르지 못한 샛길로 달려가거나 엉뚱한 갈림길에서 방황하게 되지 않으며, 또 지름길로 가다가 가시덤불을 만날 위험이나 중도에 포기해 버릴 걱정도 없게 되는 것이다. 이는 지(知, 앎)와 행(行, 실천)이 겸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행하면 저절로 알게 된다’고 ..

[고전산문] 마땅한 이유가 있어 통곡한다 / 허균

무릇 통곡(痛哭)에도 역시 도(道)가 있다. 대체로 사람의 칠정(七情) 중에서 쉽게 사람의 감정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슬픔 만한 것이 없다. 슬픔이 일어나면 반드시 울음(哭)이 터져 나오기 마련이다. 그러한 슬픔이 일어나는 것 역시 그에 얽힌 사연 또한 복잡하고도 다양하다. 그런 까닭에, 가의(賈誼)는 세상사를 바르게 잡을 방도가 없어 크게 상심하여 통곡했다. 묵자(墨翟, 묵적)는 흰 실이 그 바탕 색을 잃은 것을 크게 슬퍼하여 통곡했다. 양주(楊朱)는 동서로 나뉜 갈림길을 싫어하여 슬피 울었으며, 완적(阮籍)은 가던 길이 가로 막혀 더 이상 갈 수 없음에 크게 울었다. 당구(唐衢)는 좋은 시대를 만나지 못하고 자신의 운명이 불우함을 슬퍼하여 스스로 자신을 세상 밖으로 내치고는, 크게 소리내어 울어 자신..

[고전산문] 악(惡)을 지극히 미워함 / 이익

공자(孔子)가 “악(惡)을 미워하기를 항백(巷伯)과 같이 해야 한다.*” 했는데 이는 지극히 미워한다는 말이니 본받을 만하다. 무릇 누구든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지만 모름지기 지공무사(至公無私 지극히 공정하여 사사로움이 없음)하게 한 다음이라야 참으로 옳고 그름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항백)가 과연 참소를 만나 궁형(宮刑, 생식기를 제거당하는 신체 형벌)을 당한 사람이라면 혹 사사(개인적인 감정 혹은 원한)가 없지 않았을 것인데 군자(君子)가 무엇 때문에 이런 말을 취했을 것인가? 대개 시인(寺人, 임금 가까이서 일상의 수발을 드는 사람, 즉 환관, 내시)은 임금에게 친근한 때문에 무릇 위에서 받아들이는 것과 밑에서 하소연하는 것에 대해 모르는 것이 없다. 소인이 아첨하는 말로 하소연하여 남..

[고전산문] 문장은 문기(文氣)를 위주로 한다 / 성현

문장은 문기(文氣*, 문장에서 드러나는 기운)를 위주로 한다. 문기(文氣)가 높으면 글도 따라 높아지고 문기가 시들하면 글도 따라 시들하니, 그 시문(詩文, 시와 산문)에 표현된 것을 보면 그 문기의 실체를 가릴 수 없는 것이다(숨길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사람됨이 거칠고 비루하면 그가 쓴 글도 비루하여 누추한 문제가 있고 그 사람됨이 경박하고 조급하면 그가 쓴 글도 조급하여 각박한 문제가 있으며, 그 사람됨이 진실하지 않고 괴이하면 그가 쓴 글도 진실성이 없어 허탄한 문제가 있고 그 사람됨이 화려하고 방탕하면 그가 쓴 글도 방탕하여 사치한 데로 빠지며, 그 사람됨이 우울하고 원망에 차 있으면 그가 쓴 글도 원망에 차 있어 한스러운 데 빠지게 되니, 그 대체적인 이치가 그러한 것이다.('가형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