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백성을 위하고 염려하는 일 / 이현일

왕이 된 자는 백성을 하늘로 삼고, 백성은 먹을거리를 하늘로 삼는다. 그렇기 때문에 자고로 인성(仁聖)한 임금은 백성과 먹을거리를 중하게 여기지 않은 적이 없어서 재물을 만들어 내고 식량을 풍족하게 하는 방도에 그 힘을 다하지 않은 바가 없었고, 또 반드시 예비로 저축하여 어렵고 위급할 때를 대비하였다. 주(周)나라에서 현(縣)과 도(都)에 축적해 둔 것과 수(隋)나라와 당(唐)나라에서 의창(義倉)에 비축해 둔 것이 모두 흉년과 재해를 대비하는 것이었으니, 백성을 위해 염려한 것이 치밀하고 극진하지 않은가. 천재(天災)가 유행하여 사방이 번갈아 가며 흉년이 들어 새 곡식이 나오기 전에 묵은 곡식이 떨어져 공사(公私) 간에 모두 고갈되었고, 심지어 전답을 팔고 자식을 팔아도 먹고살 수 없어서 쪽박을 들고 ..

[고전산문] 기뻐서 움직이고 움직여 기뻐하는 것은 그 끝이 흉하기 마련이다 / 이현일

“귀매괘(歸妹卦)는 소녀(少女)가 장남(長男)을 따르는 괘입니다. 여자가 남자를 따르는 것이 꼭 안 좋은 것은 아니지만, 괘덕(卦德)으로 말해 보면 기뻐서 움직이고 움직여 기뻐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가면 흉하다.(征凶 정흉)’라는 경계가 있는 것입니다. 무릇 기뻐서 움직이고 움직여 기뻐하는 것은 부부로 말하자면 정욕(情欲)과 연안(宴安, 몸이 한가하고 마음이 편안하게 즐기는 것, 안일, 방탕의 뜻을 포함)의 사사로움이 있고 엄격하고 공경하며 장중하고 엄숙한 덕은 없는 것이며, 붕우로 말하자면 비위를 잘 맞추고 입에 발린 말만 잘 하는 해악이 있고, 정직하고 진실하고 간곡하게 권면해 주는 보탬은 없는 것이며, 군주와 신하로 말하자면 아부하고 영합하고 순종하여 따르는 태도만 있고 충심으로 곧은 말을 하여 ..

[고전산문] 학문에 해를 끼치는 6가지 / 이현일

갑신년(1644, 인조22), 내 나이 이미 18세이다. 이제 또 한 해가 저물어 간다. 이에 무어라 일컬을 만한 것이 없는 지난날을 두려운 마음으로 점검해 보고, 인하여 보잘것없는 나의 행적에 탄식하였다. 이에 경계하는 글을 짓는다. 옛사람들은 학문을 할 때에 아주 짧은 시간도 아껴서, 잠시만 느슨해져도 항상(恒常, 언제나 변함없이 일정하고 한결같음 )이 아니고, 잠깐만 멈추어도 유종(有終, 시작한 일의 끝 혹은 결실)이 없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 때문에 삼가고 조심하는 마음을 종일토록 지니고 있었고, 밤에도 그 마음이 해이해지지 않았다. 한 사람의 몸에 만 가지 이치가 갖추어져 있으니, 이 이치를 따르면 옳게 되고 이 이치를 어기면 어그러지게 된다. 하늘이 이것으로 명하고 사람이 이것을 받은 것이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