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묵자의 인식론 / 기세춘

묵자의 인식론 1) 인류 최초의 경험론적 인식론 형이상학은 존재와 그 본질이 무엇인가를 묻는다. 인식론은 인간이 존재를 인식 가능한가를 묻는다. 인식론이 철학의 과제로 제기된 것은 중세시대인 17세기부터다. 로크의 인간오성론(1690)과 칸트의 순수이성비판(1781)은 그 대표적 저술이다. 묵자는 한울님과 귀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운명이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론적으로 증명하려고 했다. 묵자의 이러한 시도는 2천년 후 서양에서 스콜라 철학자들에 의해 다시 제기되었다. 사실 서양의 중세철학은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 전부였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처럼 묵자는 소박하나마 인류사상 처음으로 認識의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을 구분하고, 사실판단은 민중의 이목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전산문] 남을 사랑하라고 권하지 않을 수가 없다

묵자가 말한다.“어진 사람의 하는 일은 반드시 천하의 이익을 일으키고 천하의 해를 제거하기를 힘써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시대에 있어서 세상의 해(害)는 무엇이 가장 큰가? 그것은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공격하는 것과 큰 집안이 작은 집안을 어지럽히는 것과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위협하는 것과 많은 사람들이 적은 사람들에게 횡포한 짓을 하는 것과 사기꾼이 어리석은 사람을 속이는 것과 귀한 사람이 천한 사람에게 오만한 것과 같은 것이니, 이것이 세상의 해(害)인 것이다."(중략) 잠시 시험삼아 이러한 여러 해들이 생겨나는 근본을 캐어 본다면 이것은 어디에서 생겨나고 있을까? 이것들은 남을 사랑하고 남을 이롭게 하는데서 부터 생겨나는 것일까? 그러면 반드시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고 할 것이다. 반드시 말..

[고전산문] 안다는 것은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지각이란 바탕이 되는 것이다((知,材也). 지각이란 것은 아는 것의 근거가 되지만 그 자체가 아는 것은 반드시 아니며 밝혀진 것과 같은 것(若明)이다. 생각이란 추구하는 것이다(慮,求也). 생각이란 것은 그의 지각으로서 추구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앎을 얻게 되는 것은 아니며, 엿보는 것과 같은 것(若睨)이다. 앎이란 접촉에서 생기는 것이다(知,接也). 앎이란 것은 그의 지각으로서 사물을 대하여 그 모양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며, 본 것과 같은 것(若見)이다. 지혜란 밝은 것이다(智,明也). 지혜란 그의 지각으로써 사물을 분별하여 그가 아는 것을 뚜렷이 하는 것이며, 밝은 것과 같은 것(若明)이다. 앎은 들어서 얻어지는 게 있고 추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게 있고 친히 경험함으로써 얻어지는 게 있다. 안다는 데 ..

묵자의 소염론 - 신영복

『천자문』에 ‘묵비사염’墨悲絲染이란 글이 있습니다. 묵자가 실이 물드는 것을 보고 탄식했다는 뜻입니다. 바로 이 구절이 ‘묵비사염’의 원전입니다. 바로 묵자의 소염론입니다.묵자가 실이 물드는 것을 보고 탄식하여 말했다. 파란 물감에 물들이면 파랗게 되고 노란 물감에 물들이면 노랗게 된다. 넣는 물감이 변하면 그 색도 변한다. 다섯 가지 물감을 넣으면 다섯 가지 색깔이 된다. 그러므로 물드는 것은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비단 실만 물드는 것이 아니라 나라도 물드는 것이다.“나라도 물드는 것이다.” 이것이 아마 묵자가 가장 절실하게 고민했던 문제였으리라고 생각됩니다. 인간의 행동은 욕구로부터 나오며 욕구는 후천적으로 물들여지는 것(所染)이라고 주장합니다. 백지와 같은 마음이 ‘마땅하게 물들여져야’(染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