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남을 권면하기는 쉽고 자신을 권면하기는 어려운 법

필(韠)은 사룁니다. 보내온 서찰에서 저를 허여(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인정해줌)함은 너무 지나치고 저를 책망함은 참으로 타당하니, 감히 묵묵히 있을 수만은 없어 대략 속마음을 서술하고자 합니다.


저는 타고난 성품이 소탄(疏誕, 태생적으로 얽매임이 없고 자유로움)하여 세상 사람들과 잘 맞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고대광실 큰 집을 만나면 반드시 침을 뱉고 지나갔으며, 누추한 거리에 초라한 집을 보면 반드시 배회하고 돌아보며 곡굉음수(曲肱飮水,팔뚝을 굽혀 베개로 삼고 배고프면 물을 마신다는 뜻, 즉 가난할지라도 분수를 알고 양심을 지키는 의로운 삶을 의미, 논어 술이에 나옴)하면서 그 즐거움을 바꾸지 않는 사람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매양 고관대작으로서 온 세상이 어질다고 하는 사람을 보면 종놈처럼 비루하게 여기고, 무뢰배 짓을 하는 임협(任俠, 정의롭고 의협심이 있는 사람)으로서 향리에서 천대를 받는 사람을 보면 반드시 기뻐서 사귀고 싶어 하면서 “아마도 비가(悲歌)를 부르며 강개(慷慨)한 사람을 볼 수 있겠구나.” 하였습니다. 


이것이 제가 세상에서 해괴한 짓을 한다는 평가를 받게 된 까닭이나 저도 스스로 무슨 마음으로 그렇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 때문에 세속과 부앙(俯仰, 아래를 굽어보고 위를 우러러봄. 즉 거들먹거리거나 굽신대며 비굴하고 구차하게 사는 것 )하고 싶지 않아 산야에 물러나 은둔하며 심성을 수양함으로써 고인이 말한 도(道)란 것을 구해 보려 했습니다.


이에 주(周, 주돈이)ㆍ정(程, 정호)ㆍ장(張, 장재)ㆍ소(邵, 소옹)ㆍ주(朱, 주희)ㆍ여(呂, 여조겸)의 저서들을 읽고 사색했으니, 비록 스스로 얻은 바가 있다고야 감히 말할 수는 없지만 그 문의(文義)에서 더러 마음에 분명히 와 닿는 곳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드디어 작심하고 학문에 매진한 지 지금에 어언 6, 7년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위로는 엄사(嚴師, 엄격한 스승)의 가르침이 없고 곁에는 익우(益友, 사귀어 이로운 벗)의 도움이 없어 그럭저럭 녹록하게 시속과 부침했으며, 시주(詩酒, 시와 술)를 즐기는 습관이 또 저를 얽어매었습니다. 그리하여 비록 도에 뜻을 두었다고는 하지만 언행은 예전의 사람 그대로이니, 족하가 이렇게 책망하시는 것이 당연합니다.


아! 족하가 저를 책망하심이 참으로 옳으며, 족하가 저를 사랑하심이 참으로 많습니다. 저는 일찍이 책선보인(責善輔仁, 선한 행동을 권하고 어진 품성을 돕는다)은 옛날의 도이고 오늘날 세상에는 고인의 도를 행하는 사람이 없다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지금에 문득 그러한 도가 있고 저 자신이 직접 보았으니, 감히 재배하고 족하께 치하하는 한편 저 자신에게 치하하지 않겠습니까? 


비록 그렇지만 남을 면려(권면, 남을 알아듣도록 타일러서 어떤 일에 힘쓰게 함)하기는 쉽고 자신을 면려하기는 어려운 법(勉人易而勉己難)이니, 족하가 저를 면려한 것으로써 자신을 면려하신다면 더욱 다행한 일일 것입니다. 이만 줄입니다. 필(韠)은 사룁니다.


-권필(權韠, 1569~1612), '송홍보(宋弘甫)에게 답하는 서찰(答宋弘甫書)', 『석주집(石洲集) 별집 제2권』-


▲원글출처: ⓒ 한국고전번역원 ┃ 이상하 (역) ┃ 2007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고 팔을 굽혀서 베더라도 즐거움이 그 가운데 있으니, 의롭지 않으면서 누리는 부귀는 나에게는 뜬구름과 같다...어질도다 안회여!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을 먹으면서 좁고 누추한 거리에서 빈천하게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디지 못하거늘, 안회는 그 속에서도 즐거움을 변치아니하니, 어질도다 안회여! " -공자(논어)-


"만일 능히 남을 아는 도(道)를 다하지도 못하면서 문득 자신을 밝게 안다 하는 사람은 반드시 식견이 천박하고 치우친 사람이다...무릇 자신을 아는 것이 어려운 까닭은 기질(氣質)의 병에 있고, 남을 아는 것이 어려운 까닭은 때에 따라 변하는 데 있다." -최한기(추측록)-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