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문장의 법도 따위에 얽매여서는 안된다

글을 지을 때는 답답하게 법도(法度, 정해놓은 법칙과 형식) 따위에 얽매여서는 안된다. 법도는 자연스런 형세에서 나오는 것이지, 평상시에 강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까닭이다. 어린 아이가 처음 걸음마를 배울때는 항상 빨리 달리다 잘 넘어지곤 한다. 그런데 턱이 높은 문지방을 넘는 걸 보면, 반드시 한 쪽 다리를 먼저 문지방 밖으로 내놓은 다음, 문지방 안쪽에 있는 다리로 문지방을 사이에 끼워 놓은다. 그런 다음 다리가 문지방 건너편 땅에 닿지 않기 때문에 엎드려서 문지방 말뚝을 붙잡고서 문지방 안쪽의 다리를 거두며 문지방을 천천히 넘는다. 어찌 어린 아이가 그런 방법을 배웠겠는가? 형세가 부득불 그렇게 만들었을 따름이다. 마치 곧게 흐르던 물도 산을 만나면 산을 안고 돌아 흐르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처..

[고전산문] 인간이해(人解)

사람은 천하 만물 가운데서 영물(靈物)인 까닭에 진실로 금수(禽獸,하늘과 땅의 짐승)와 비교할 바가 못된다. 그러나 무거운 것을 지고 나르는데는 소(牛)만 못하고, 장거리의 먼 곳을 가는데에는 말(馬)만 못하다. 물에 들어감에 있어서는 물고기만 같지 못하고, 바람을 타고 거슬러 하늘을 날아감은 새만 같지 못하다. 그러므로 사람과 금수(禽獸)중에서 어떤 것이 더 나은지, 나는 알지 못하겠다. 다만 사람만이 금수(禽獸)를 다스리고 부릴 수 있고, 금수(禽獸)는 그럴 수 없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사람이 금수(禽獸)보다 영험(靈驗)한 이유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할지라도 만약 천하에 사람이 없다고 가정할 경우에, 금수(禽獸)가 살아가는데에 이무런 지장도 해(害)도 될 것이 없다. 반면에 천..

학문의 방법은 자기에게서 돌이켜 구하는 것일 뿐

맹자가 말했다. “학문의 방법은 다른 것이 없다. 자기에게서 돌이켜 구하는 것일 뿐이다.” 오늘 한 마디를 읽으면 반드시 이와 같이 하고, 내일 한 사람을 보면 반드시 이처럼 한다. 또 이튿날 한 가지 일을 들으면 꼭 그렇게 한다. 읽은 책이 나날이 더 많아지고 세상에서 듣고 본 것이 날로 더욱 넓어지면 고금과 천하의 좋은 점이 모두 내게 갖추어져서, 고금과 천하의 악함은 터럭 하나도 남아있지 않게 될 것이다. 옛날에 위기지학(爲己之學), 즉 '자기를 위한 학문'이라고 일컬었던 것은 이 방법을 따르는 것일 뿐이다. 성인이 거룩하게 된 까닭은 이것을 모았기 때문일 뿐이다. 군자는 배움에 있어 힘 쏟지 않는 곳이 없다. 하지만 반드시 중점을 두는 것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거두는 보..

본 바가 적으면 괴상한 것이 많다

계서(季緖) 유협((劉勰, 465년~521년, 중국 남조시대 양나라의 문학자, 최초의 문학비평서라 할수 있는 문학이론과 평론의 고전 '문심조룡'의 저자)은 작가의 반열에 들지도 못했으면서 남의 글 헐뜯기를 좋아하여 당세 거공들의 비웃는 바가 되었다. 대저 다른 사람의 글을 망령되이 헐뜯어서는 안 된다. 그 편장과 체제, 자구와 색상이 갑자기 내 안목을 놀래키는 것에 이르러서는 더더욱 쉽게 평을 내려서는 안 된다. 다른 사람이 읽은 책을 내가 다 읽은 것이 아니고, 내가 읽지 않은 것을 다른 사람이 다 읽지 않은 것도 아니다. 저 사람이 비록 명성이 낮고 배움이 부족하더라도 간혹 어쩌다 내가 미처 살피지 못한 것을 알 수도 있거늘 하물며 박식하기가 나보다 나은 사람일 경우이겠는가? 인품의 높고 낮음과 문사..

재주는 부지런함만 못하고 부지런함은 깨달음만 못하다

사람이 아이 적에 책을 두세 번만 읽고도 곧바로 외우거나, 또 간혹 7, 8세에 능히 시문을 지어 입만 열면 그때마다 남들을 놀라게 하다가도 정작 나이가 들어서는 성취한 바가 남보다 특별히 나은 점이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똘똘한 재주가 쉬지 않는 부지런함만 못함을 알게 되었다. 또 불을 밝혀 새벽까지 쉬지 않고 애를 쓰다가 흰머리가 흩날릴 지경이 되었는데도 스스로 일가의 말을 이루지 못하는 자가 있으니 그 까닭은 어째서일까? 겨우 백여 권의 책을 읽고도 붓을 내려 종이에 폄에 쟁그랑 소리를 내며 환히 빛나, 만 권을 외운 자가 뒤에서 눈이 휘둥그레지기도 한다. 똑같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한 사람은 한 글자도 남김없이 외웠는데도 식견은 늘지 않고 저작에 볼 만한 것이 없으며, 한 사람은 반 넘어 잊어..

덕이 없어 깨닫지 못하는 것도 있다

지금 사람들은 문학과 사공(事功, 일의 업적, 공적)과 기술 등의 방면에서 남을 헐뜯어 비웃지 않으면, 자기가 익히던 것을 버리고 좋아 보이는 것으로 옮겨가곤 한다. 둘 다 잘못이다. 자기에게서는 좋은 것을 가려서 굳게 지키고, 남에게서는 장점을 취해 아울러 받아들이니, 이를 일러 군자라 한다. 세상에 기뻐할 만한 사람이 많으면 이는 내 덕이 날로 진보하는 것이고 천하에 미워할 사람이 많으면 이는 내 덕이 날로 줄어드는 것이다. 이것은 소식(蘇軾, 소동파)의 「강설剛說」에 나오는 격언이다. 내가 일찍이 스스로 내 마음에 시험해보았지만, 끝내 절실하게 깨닫지는 못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다른 사람의 글을 보면 점점 인정함이 많아지고 배척함이 줄어드는 것을 느낀다. 어찌 내 문장의 경지가 거칠게나마 예전보..

책을 제대로 읽은 사람은 누구인가

두 사람이 똑같이《논어》 한 권을 다 읽었다고 하자. 한 사람은《논어》 전체를 마치 자기 말처럼 전부 외운다. 하지만 막상 어떤 상황에 닥쳐서는 생각과 그 헤아림이 책이 가르치는 바에 미치지 못한다. 그 행동하는 바를 살펴봐도 마찬가지다. 읽은 것과 반대로 행동한다. 반면에 다른 한 사람은 한 두 장도 제대로 외우지 못한다. 하지만 화나는 일이 생기면, 곧 바로 《논어》에서 읽었던 한 구절을 생각한다. 그래서 말하기를, "《논어》 중에 한 구절이 있다. 그 말을 일일히 다 기억할 수는 없다. 하지만 생각해 보니. '화가 날 때 제멋대로 행동하면 뒤에 반드시 어려움이 있다'는 그런 의미의 말이었다"라고 말한다. 그러고는 깊이 반성하여 마침내 화를 참고 분노심을 가라앉혔다. 뜻하지 않는 재물과 마주해서도 마..

섣부른 평가, 조급한 결론

오늘날의 사람들은 사람을 논하고 사건을 논함에 정해진 견해라고는 없고 대부분 성질이 조급하다. 이런 까닭에 오늘은 이처럼 이렇게 이야기하고 내일은 또 저렇게 이야기하면서, 어제 이야기한 것과 어긋난다는 사실을 전혀 생각지 않는 자도 있다. 어떤 사건의 시비도 시일이 경과하고 여론이 모아지면서 모두 같아진다. 이렇게 되면 조급한 자가 아니더라도 일세의 공론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다음 날부터 처음에는 다른 의견이 들려오고, 곧 이어서 거기에 맞장구치는 자가 생긴다. 그러면 며칠 안 지나 시비가 반반이 된다. 그러니 몇 년 뒤엔 정론이 필경 어느 쪽에 속하게 될는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이것이 맹자께서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어질다고 하거나 모두 불가하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살펴야한다’는 교훈을 남기신 까닭이..

말과 글은 끝까지 듣고 읽어봐야

조급한 사람은 책을 읽거나 다른 사람이 일하는 것을 보거나 남이 말하는 것을 들을 때 모두 끝까지 기다리지 못하고 먼저 의문을 제기하곤 한다. 내가 이미 여기에 대해 논한 적이 있다. 일찍이 이 같은 사람에게 고하여 말했다. “그대가 경전에 통하지 못한 까닭에 이 같은 병통이 있다 .가령 그대가 내개 를 배운다고 치세. ‘맹자께서 평륙(平陸)에 가서 그 대부(大夫)에게 이르기를’이라 한 대목에 이르면 그대는 분명히 ‘평륙’ 대부의 성명은 전해지지 않는가요?‘하고 물을 것이다. 나는 아무 대답 않고 그 아래 글을 읽게 하겠지. ’이것은 거심(距心)이 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라고 한 대목에 이르게 되면, 그대는 반드시 또 ’이름이 거심이면 성은 뭡니까‘라고 물을 것이다. 나는 또 대답하지 않고 그 아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