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배움이란 무엇인가 / 정약용

배움이란 무엇인가? 배움이라는 것은 깨닫는 것이다.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깨달음이라는 것은 그릇된 점을 깨닫...

[고전산문] 감사론(監司論): 큰 도적을 제거하지 않으면 백성이 다 죽을 것이다

밤에 담구멍을 뚫고 문고리를 따고 들어가서 주머니를 뒤지고 상자를 열어 의복ㆍ이불ㆍ제기(祭器)ㆍ술그릇 등을 ...

[고전산문] 종일 시끄럽게 떠들어도 금하지 않는 것

내가 초천(苕川)의 농막(墅 농막 서, 농사짓는 데 편리하도록 논밭 근처에 간단하게 지은 집)으로 돌아온 뒤...

[고전산문] 시(詩)의 근본

『오늘날에 있어서 시율(詩律)은 마땅히 두공부(杜工部 두보(杜甫)를 가리킴)로써 공자(孔子)를 삼아야 한다....

[고전산문] 학문의 방법

‘용모를 움직임’[動容貌 동용모], ‘말을 함’[出辭氣 출사기], 안색을 바로하는 것’[正顔色 정안색]이 학...

[고전산문] 마음 속에 보답을 바라는 근성을 버려라

여러 일가 중에 며칠째 밥을 짓지 못하는 자가 있을 때 너희는 곡식을 주어 구제하였느냐. 눈 속에 얼어서 쓰...

[고전산문] 시비(是非)와 이해(利害)의 기준

천하에는 두 가지 큰 기준[大衡]이 있는데 하나는 시비(是非)의 기준이요, 다른 하나는 이해(利害)의 기준이...

[고전산문] 문장은 학식이 속에 쌓여 그 문채가 밖으로 드러나는 것

내가 열수(洌水) 가에 살 때였다. 하루는 묘령(妙齡)의 소년이 찾아왔는데 등에는 짐을 지고 있기에 그것을 ...

[고전산문]대체를 기르는 일과 소체를 기르는 일

만일 우리가 배불리 먹고 따듯이 입으며 종신토록 근심 없이 지내다가 죽는 날 사람과 뼈가 함께 썩어버리고 한...

[고전산문] 오학론(五學論)

이 세상을 주관(主管)하면서 온 천하를 배우(俳優)가 연극을 연출하는 것과 같은 기교로 통솔하는 것이 과거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