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마땅한 이유가 있어 통곡한다 / 허균

무릇 통곡(痛哭)에도 역시 도(道)가 있다. 대체로 사람의 칠정(七情) 중에서 쉽게 사람의 감정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슬픔 만한 것이 없다. 슬픔이 일어나면 반드시 울음(哭)이 터져 나오기 마련이다. 그러한 슬픔이 일어나는 것 역시 그에 얽힌 사연 또한 복잡하고도 다양하다. 그런 까닭에, 가의(賈誼)는 세상사를 바르게 잡을 방도가 없어 크게 상심하여 통곡했다. 묵자(墨翟, 묵적)는 흰 실이 그 바탕 색을 잃은 것을 크게 슬퍼하여 통곡했다. 양주(楊朱)는 동서로 나뉜 갈림길을 싫어하여 슬피 울었으며, 완적(阮籍)은 가던 길이 가로 막혀 더 이상 갈 수 없음에 크게 울었다. 당구(唐衢)는 좋은 시대를 만나지 못하고 자신의 운명이 불우함을 슬퍼하여 스스로 자신을 세상 밖으로 내치고는, 크게 소리내어 울어 자신..

[고전산문] 글을 귀로 먹는 자들 / 허균

무릇 문장과 서화는 공벽(拱璧, 큰 옥석, 즉 진귀한 물건)이나 장주(掌珠, 손에 쥔 진주)와 같아서 정해진 제 값이 있는 것이나(즉, 안목과 식견을 갖춘 사람만이 그 가치를 알아볼 수 있다는 의미), 세상이 파사호(波斯胡, 서역인, 즉 페르시아 상인)가 아닌 이상 어찌 그 고하(高下, 값어치의 높고 낮음)를 알겠는가? 오늘 날 눈 어두운 자들이 모두 시문(詩文, 시와 글)도 세태를 따라 오르내린다 하여 눈으로 본 것은 배척하고, 귀로 들은 것만 귀히 여겨 모두 다 고인(古人, 옛 현인들)을 절대 따를 수 없다 하니, 아아, 큰 물이 밀어닥쳐 공중까지 넘실대어 산호가 잠긴 곳이 어느 곳인지도 모르면서, 맥모르고 스스로 나불나불 가리켜 구하는가. 이는 귀로 먹는 자들과 무엇이 다르랴!(이하생략) -허균(許..

[고전산문] 나를 판단하고 비난하는 사람에게 답함 / 허균

갓을 쓴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해 보이는 사람이 나에게 힐문하였다. "그대는 문장을 지녔고 벼슬은 높은 지위에 이르렀다. 높은 지위에 걸맞는 관과 넓은 띠를 하고 임금님을 모실 적에는, 큰 길에 나서면 종자들이 구름처럼 옹위하여 뭇 행인들을 호령하며 앞길을 정리(呵導)했다. 공적인 사귐에 있어서는 지위에 걸맞게 당연히 공경 재상과 한 무리가 되어 서로 어울려 나라 위한 모의(謀議)를 함께 하였다. 이럴진대 그대가 마음만 먹는다면 서열과 단계를 뛰어 넘어 권력을 붙잡고 일신에 호화로운 생활 누릴 수 있었건만, 어찌하여 조회만 마치면 입 다물고 바보처럼 하고 다니는가?세상 이치에 밝고 명성있는 현명한 사람은 자네를 찾아 오는 일은 없고, 천박하고 기이한 사람들과 어울리고 있느니 어찌된 일인가. 게중엔 얼굴..

[고전산문]문설(文說): 옛 것을 본받되 답습하지 않고 내 것을 이룬다

객(客)이 허자(許子)에게 물어왔다. “당세에서 고문(古文)에 능하다고 일컫는 자들은 반드시 그대를 최고로 친다. 내가 보기에는 그 글이 비록 넓고 커서 한량이 없는 것 같지만 대체로 상용(常用)의 말을 사용하여 글이 붙고 글자가 순탄하고, 그것을 읽으면 마치 입을 벌리고 목구멍을 보는 것과 같아서 해득하는 자나 해득하지 못하는 자를 막론하고 아무런 걸림이 없으니 고문을 전공하는 사람이 과연 이와 같은가?” 내가 대답하였다. “이런 것이 바로 고문이다. 그대는 우하(虞夏)의 전모(典謨)와 상(商)의 훈(訓)과 주(周)의 삼서(三誓)ㆍ무성(武成)ㆍ홍범(洪範) 등의 글을 보아라. 모두가 글로서는 극치이지만 여기에 장구(章句)에 갈고리를 달고 가시를 붙여 어려운 말로써 공교롭게 꾸민 곳이 있던가. 공자가 ‘문..

[고전산문]소인론(小人論)

요즈음 나라에는 소인(小人)도 없으니 또한 군자(君子)도 없다. 소인이 없다면 나라의 다행이지만 만약 군자가 없다면 어떻게 나라일 수 있겠는가? 절대로 그렇지는 않다. 군자가 없기 때문에 역시 소인도 없는 것이다. 만약 나라에 군자가 있다면 소인들이 그들의 형적(形迹)을 감히 숨기지 못한다. 대저 군자와 소인은 음(陰)과 양(陽), 낮과 밤 같아서 음(陰)이 있으면 반드시 양(陽)이 있고 낮이 있으면 반드시 밤이 있으니, 군자가 있다면 반드시 소인도 있다. 요ㆍ순 때에도 역시 그랬는데 하물며 뒷세상에서랴. 대개 군자라면 바르고 소인이라면 간사하며, 군자라면 옳고 소인이라면 그르며, 군자라면 공변되고 소인이라면 사심(私心)을 지녔으니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사정(邪正)ㆍ시비(是非)ㆍ공사(公私)의 판단으로써 ..

[고전산문] 품은 생각이 있어 운다

내 조카 친(親)이란 자가 자신의 서실(書室)을 짓고 편액을 통곡헌(慟哭軒)이라 달았다. 사람들이 모두 크게 웃으며, “세상에 즐거울 일이 무척 많은데 어째서 통곡으로써 집의 편액을 삼는단 말이오? 하물며 통곡하는 이란 아버지를 여읜 자식이거나 아니면 곧 사랑하는 이를 잃은 부녀자인 것이며, 사람들은 그 소리를 듣기 싫어하는데, 그대만 혼자 사람들이 꺼리는 바를 범하여 거처에다 걸어 놓는 것은 어째서인가?”했다. 친은, “나는 시속의 기호를 위배한 자다. 시류가 기쁨을 즐기므로 나는 슬픔을 좋아하고, 세속사람들이 흔쾌해 하므로 나는 근심해 마지않는 것이다. 심지어 부귀와 영화에 있어서도 세상이 기뻐하는 바이지만, 나는 몸을 더럽히는 것인 양 여겨 내버리고, 오직 빈천하고 검약한 것을 본받아 이에 처하며,..

[고전산문]호민론 (豪民論 ):천하에 두려워해야 할 바는 오직 백성뿐

천하에 두려워해야 할 바는 오직 백성일 뿐이다. 홍수나 화재, 호랑이, 표범보다도 훨씬 더 백성을 두려워해야 하는데,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항상 업신여기며 모질게 부려먹음은 도대체 어떤 이유인가? 대저 이루어진 것만을 함께 즐거워하느라, 항상 눈앞의 일들에 얽매이고, 그냥 따라서 법이나 지키면서 윗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는 사람들이란 항민(恒民)이다. 항민이란 두렵지 않다. 모질게 빼앗겨서, 살이 벗겨지고 뼈골이 부서지며(剝膚椎髓 박부추수), 집안의 수입과 땅의 소출을 다 바쳐서, 한없는 요구에 제공하느라 시름하고 탄식하면서 그들의 윗사람을 탓하는 사람들이란 원민(怨民)이다. 원민도 결코 두렵지 않다. 자취를 푸줏간 속에 숨기고 몰래 딴 마음을 품고서, 천지간(天地間)을 흘겨보다가 혹시 시대적인 변고라도 있..

[고전산문] 학자라고 불리우는 거짓선비의 실체

옛날의 학문하는 사람이란 홀로 제 몸만을 착하게 하려고 하지 않았다. 대체로 이치를 궁구해서 천하의 변화에 대응하고, 도(道)를 밝혀서 뒤에 올 학문을 열어주어 천하 후세로 하여금 우리 학문은 높일 만하고, 도맥(道脈)이 자기를 힘입어 끊어지지 않았음을 환하게 알리려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을 유자(儒者)의 선무(先務, 우선시하는 의무)로 하였으니 그들의 마음씨는 역시 공변(한쪽으로만 치우치지않고 한결같은 공평함)되지 않은가? 근세(近世)의 학자라고 말해지는 사람이란 우리 학문을 높이기 위해서만이 아니며, 또한 홀로 제 몸만을 착하게 하려고도 않는다. 입으로 조잘대고 귀로 들은 것만을 주워 모아 겉으로 언동(言動)을 꾸미는 데에 지나지 않으나, 자신은, “나는 도(道)를 밝히오. 나는 이치를 궁구하오.”..

[고전산문] 독서 벽(癖)을 위한 규범

대저 사람이란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다 벽(僻)이 생기게 마련이요, 벽이 없으면 수고로움도 없게 마련이다. 예를 들면 산수(山水)에, 혹은 화목(花木)에, 혹은 구마(狗馬)나 환고(紈袴 귀족 자제의 의복)에, 혹은 사죽(絲竹 관현악(管絃樂))에, 혹은 술에, 혹은 차[茶]에 벽이 있어서 그 정(情)이 끌리게 되면, 마침내 은근히 주선하고 간곡히 포치(布置)하는 사이에 자기의 뜻대로 이루어지기를 기필하여 교룡(蛟龍)이나 호표(虎豹)의 소굴에도, 풍정(風亭, 바람부는 곳)이나 노사(露榭, 이슬이 내리는 곳)에도 회피하지 않으면서 정신력을 소모하고 시청각(視聽覺)을 다하여 논(論)을 지어 칭송하는 한편, 좇아가고 싶어하고 또 기뻐서 어쩔 줄 몰라한다. 이는 한때의 벽(癖)임에도 오히려 이러한데, 이것이 만약 ..

[고전산문] 책을 보는 것은 약을 복용하는 것과 같다

장횡거(張橫渠 송(宋) 장재(張載) 장자(長子)는 이렇게 말하였다. “책은 이 마음을 지켜 준다. 잠시라도 그것을 놓으면 그만큼 덕성(德性)이 풀어진다. 책을 읽으면 마음이 항상 있고, 책을 읽지 않으면 의리(義理)를 보아도 끝내 보이지 않는다.” 《장자전서(張子全書)》 안지추(顔之推 남북조 시대의 문신(文臣))는 말하였다. “재물 1천 만냥을 쌓아도 작은 기예(技藝, 갈고 닦은 기술과 재주) 한 가지를 몸에 지니는 것만 못하고, 기예 가운데 쉽게 익힐 수 있고 또 귀한 것은 독서만한 것이 없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모두 면식(面識, 얼굴을 서로 알고 있음)이 많기를 바라고(서로 아는 사람 즉 인맥이 넓기를 바라고) 일을 널리 보려고 하면서도 독서를 하려 하지 않으니, 이는 배부르기를 구하면서 밥짓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