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함께 시를 논할 만하구나 / 논어

자공(子貢)이 물었다. “가난하면서도 아첨함이 없고, 부유(富裕)하면서도 교만함이 없으면 어떻습니까?” 자(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괜찮으나 가난하면서도 도(道)를 즐기고, 부유하면서도 예(禮)를 좋아함만 못하다.” 자공(子貢)이 말하였다. “≪詩, 시경≫에 ‘끊은 것 같고 간 것 같으며 쪼은 것 같고 연마(硏磨)한 것 같다.’고 하였으니, 이를 이른 것입니까?” 자(子)께서 말씀하셨다. “사(賜, 자공)야 비로소 함께 시(詩)를 논할 만하구나. 너에게 왕(往, 지나간 일 貧而樂 富而好禮)을 일러주니 래(來, 앞일 切磋琢磨)를 알았구나.” [소(疏, 주석)] ○정의왈(正義曰):이 장은 빈자(貧者)나 부자(富者)나 모두 도(道)를 즐기고 자신을 수양(修養)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재물(財物)이 궁핍한..

[고전산문]사람을 알되 얼굴은 알지만 마음은 알지 못한다 / 명심보감

스스로 믿는 자는 남도 또한 자기를 믿나니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와 같은 적국 사이라도 형제와 같이 될 수 있고, 스스로를 의심하는 자는 남도 또한 자기를 의심하니 자기 외에는 모두 적국(敵國)이다. 사람을 의심하거든 쓰지 말고, 사람을 쓰거든 의심하지 마라. 《풍간》에 말하였다. “물 바닥의 고기와 하늘가 기러기는 높이 하늘에 뜬 것은 쏘아 잡고, 낮게 물속에 있는 것은 낚아 잡을 수 있거니와, 오직 사람의 마음은 지척간에 있음에도 이 지척간에 있는 마음은 헤아릴 수 없다.” 범을 그리되 껍데기는 그릴 수 있으나 뼈는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되 얼굴은 알지만 마음은 알지 못한다. 얼굴을 맞대고 함께 이야기는 하지만, 마음은 천산(千山)을 격해 있다. 바다는 마르면 마침내 바닥을 볼 수 있으나, 사..

[고전산문] 글을 쓰는 일 / 안씨가훈

심약(沈約)이 말했다. “문장은 마땅히 삼이(三易, 쉬운 것 세가지)의 원칙을 따라야 한다. 첫째는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易見事), 둘째는 글자를 쉽게 알아볼 수 있어야 하며(易識字), 셋째는 낭독을 쉽게 할 수 있어야(易讀誦) 한다.”(※옮긴이 주: 독통(讀誦)은 그냥 단순한 읽기가 아니라, 소리내어 읽음으로써 외우는 것을 의미한다.) 글을 쓰는 일은 사람이 준마(駿馬)를 타는 것과 같아서, 준마가 비록 빼어난 기상이 있다 해도 재갈과 고삐로 제어해야지, 함부로 날뛰어 발자취를 어지럽히고 멋대로 구덩이에 빠지게 해서는 안 된다. 문장(文章)은 마땅히 이치를 핵심이 되는 심장이나 콩팥으로 삼고, 기운(氣韻, 문채에 담긴 기운과 정취)과 재주를 뼈와 근육으로 삼고, 내용을 이루는 소재를 피부..

[고전산문] 입과 혀 / 명심보감

유회(劉會)가 말하였다.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다.” 한 마디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이 쓸모 없다. 군평(君平)이 말하였다. “입과 혀는 재앙과 근심의 문(門)이요, 몸을 망치는 도끼이다.”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뜻하기 솜과 같고, 사람을 상하게 하는 말은 날카롭기가 가시 같아서, 한 마디 말이 사람을 이롭게 함은 소중한 것이 천금으로 값나가고, 한 마디 말이 사람을 속상하게 함은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과 같다. 입은 바로 사람을 상하게 하는 도끼요 말은 바로 혀를 베는 칼이니, 입을 막고 혀를 깊이 감추면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가는 곳마다 확고할 것이다. 사람을 만나거든 우선 말을 3할(三割, 1/3)만 하되 자기가 지니고 있는 한 조각 마음을 다 털..

[고전산문] 본심을 잃었다는 것 / 맹자

우산(牛山)의 나무들도 예전에는 무성하여 아름다웠다. 그러나 대도시의 교외에 위치해 있어 사람들이 도끼와 자귀로 나무를 베어가니, 어떻게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그 산에도 밤낮으로 만물을 생장시키는 원기와 촉촉이 적셔주는 비나 이슬이 있으므로 싹과 움이 트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나오는 족족, 소와 양이 뜯어 먹기 때문에 저렇게 민둥산이 된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것이 민둥산인 것만 보고 처음부터 재목이 있었던 적이 없다고 하는데, 이것이 어찌 산의 본성(本性)이겠는가. 사람이 지닌 본성에도 어찌 인의(仁義)의 마음이 없겠는가. 그런데도 그 양심(良心)을 잃어버리는 이유는 역시 도끼와 자귀로 산의 나무를 아침마다 베어가는 것처럼 스스로가 양심의 싹을 자르기 때문이니, 어떻게 아름답게 될 수 있..

[고전산문] 6가지 불치병 / 사마천

성인(聖人)은 병의 징후를 예견해 명의(名醫)로 하여금 일찍 치료하게 할 수 있다면 병도 나을 수 있고 몸도 살릴 수 있다. 사람이 걱정하는 것은 병이 많은 것이고 의원이 걱정하는 것은 치료방법이 적은 것이다. 이 때문에 여섯 가지 불치병이 있다고 전해진다. 첫 번째 불치병은 교만해 도리를 논하지 않는 것이다. 두 번 째 불치병은 몸을 가벼이 여기고 재물을 중히 여기는 것이다. 세 번째 불치병은 의식(衣食)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한 것이다. 네 번째 불치병은 음(陰)과 양(陽)을 문란하게 하여 오장(五臟)의 기(氣)가 안정되지 못한 것이다. 다섯 번째 불치병은 몸이 극도로 쇠약해져 약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여섯 번째 불치병은 무당의 말을 믿고 의원을 믿지 않는 것이다. 이 여섯 가지 불치병 중 하..

[고전산문] 혈구지도(絜矩之道) / 예기정의(禮記正義)

공자(孔子)가 “송사(訟事)를 판결(聽)함은 나도 남과 같다(나도 남들처럼 한다). 그러나 반드시 백성들이 송사함이 없게 하겠다.(억울해서 재판을 거는 일이 없게 하겠다)”라고 하였으니, 진실하지 않은 자가 그 터무니없는 말을 다하지 못하게 함은 성인(聖人)이 백성의 마음을 매우 두렵게 해서이니, 이것을 근본을 안다고 하는 것이다. 이른바 몸을 닦음이 자기의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에 달려 있다는 것은 몸에 분노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두려워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근심하고 걱정하는 것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마음이 거기에 있지 않으면 보고 있어도 보이지 않으며, 듣고 있어도 들리지 않으며, 먹..

[고전산문] 귤이 탱자가 된 이유 / 안자춘추

안영(晏嬰)은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齊)의 명재상이다. 제나라 3대 왕에 걸쳐 재상을 역임했다. 높은 관직에 있으면서도 비단옷을 입지 않을 정도로 근검하고 소박한 생활을 하였으며, 덕과 지혜가 높은 현자(賢者)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세상은 안영을 안평중(晏平仲) 혹은 안자(晏子)라는 존칭으로 불렀다. 사마천(司馬遷)은 사기 열전에서, “직언을 하되 군주의 표정에 아랑곳하지 않았으니 이것은 이른바 '나아가서는 충성을 다할 것만 생각하고, 물러나서는 잘못을 보완할 것만 생각한다(進思盡忠, 退思補過)'는 말 아니겠는가? 안자가 살아 있다면 내가 그를 위해 말채찍을 들 만큼 그를 흠모한다.” 고 칭송할 정도로 군주앞에서도 반드시 옳고 그름을 따지기를 마다하지 않았다. 안영은 키가 작고 왜소한 체격을 가졌다고 ..

[고전산문] 대추나무 가시끝에 조각하기 / 한비자

어떤 송나라 사람이 연왕에게 찾아와 간청하기를, 대추나무의 가시 끝에 암컷 원숭이를 조각하여 연왕에게 바치겠노라 하였다. 다만 나무 가시끝에 조각된 원숭이를 볼려면, 3개월 동안 목욕재계를 해야 볼 수 있다고 단서를 달았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연왕은 나무 가시끝에 조각된 원숭이를 보고 싶어했다. 그래서 연왕은 그에게 3승의 땅*을 하사하였다. 연왕을 가까이서 섬기는 궁궐의 대장장이가 이 상황을 지켜보다가 연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저는 군주가 열흘 동안이나 목욕 재계하며 연회를 열지 않은 일을 들어 본적이 없습니다. 왕께 장담한 그 송나라 사람이 3개월동안 몸과 마음을 깨끗히 하는 기한을 정한 까닭은, 임금님께서 그토록 오랫 동안 재계하면서까지 쓸모 없는 물건을 구경할 생각은 못할 것이라 미리 짐작하였..

[고전산문] 술집을 지키는 사나운 개와 사당의 쥐 (酒拘社鼠) / 한비자

송나라에 술을 파는 자가 있었다. 사람이 정직하여 술의 양과 질을 속이지 않고 매사에 공정하고 정확하였다. 손님을 대할 때에도 매우 공손하여 술 맛을 더욱 좋게 만들었다. 자신이 파는 술에 자부심을 가지고 깃발을 매우 높게 달아 사방에서 깃발이 뚜렷이 보였다. 그러나 오래도록 술이 팔리지 않았고, 결국 술이 식초처럼 쉬어버리고 말았다. 술집 주인은 그 이유를 괴상히 여겼다. 그래서 평소 알고 지내던 마을의 장로 양천에게 그 까닭을 물었다. 그러자 양촌은 이내 대답하기를, 엉뚱하게도 "너의 개가 사납다. "라고 하였다. 주인은 "아니 내가 키우는 개가 사나운 것과 술이 안팔리는 것과 무슨 관련이 있습니까?" 다시 물었다. 그러자 양촌은, "사람들이 무서워해서 그렇다. 어떤 사람이 어린 자식으로 하여 호리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