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졸(拙)이라는 글자에 담긴 뜻(용졸당기)
Posted by 優拙堂
백마강(白馬江)이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가림군(加林郡) 남쪽 지점에 이르러 남당강(南塘江)이 되는데, 이 강 ...
백마강(白馬江)이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가림군(加林郡) 남쪽 지점에 이르러 남당강(南塘江)이 되는데, 이 강 ...
서로 헤어진 지 벌써 4~5년이나 되었는데, 남과 북으로 떨어져 있고 산맥이 그 사이를 가로막고 있어도 끝없...
쥐 과(科)에 속하는 동물로서 색깔이 노란 것을 세상에서 족제비라고 하는데, 평안도와 함경도 지방의 산속에 ...
굴자(屈子 초(楚) 나라 굴원(屈原))의 《이소경(離騷經)》에 “수피둘기 울면서 가게 해 볼까, 경조부박(輕...
사람은 마음을 쓰지 않아서도 안 되지만 원래 마음을 쓰지 않을 수도 없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장기와 바둑을...
이웃에 장생(張生)이라는 자가 살고 있었다. 장차 집을 지으려고 산에 들어가 재목을 구하였는데 빽빽이 들어찬...
우물 안의 개구리는 바다를 의심하고 여름 벌레는 얼음을 의심하니(井蛙疑海夏蟲疑氷), 이것은 보는 것이 국한되...
완사종(阮嗣宗)*이 자기 눈을 청안(靑眼)과 백안(白眼)으로 곧잘 만들면서 예속(禮俗)에 물든 인사를 보면 ...
남의 힘을 빌려야만 일어설 수 있는 자는 어린아이이고, 남에게 빌붙어서 자라는 것은 담쟁이덩굴이고, 남이 하...
문장의 좋고 나쁨은 원래 정해진 바탕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긴 하지만 문장이라는 것이 워낙 정미(精微)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