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남을 사랑하라고 권하지 않을 수가 없다

묵자가 말한다.“어진 사람의 하는 일은 반드시 천하의 이익을 일으키고 천하의 해를 제거하기를 힘써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시대에 있어서 세상의 해(害)는 무엇이 가장 큰가? 그것은 큰 나라가 작은 나라를 공격하는 것과 큰 집안이 작은 집안을 어지럽히는 것과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위협하는 것과 많은 사람들이 적은 사람들에게 횡포한 짓을 하는 것과 사기꾼이 어리석은 사람을 속이는 것과 귀한 사람이 천한 사람에게 오만한 것과 같은 것이니, 이것이 세상의 해(害)인 것이다."(중략)


잠시 시험삼아 이러한 여러 해들이 생겨나는 근본을 캐어 본다면 이것은 어디에서 생겨나고 있을까? 이것들은 남을 사랑하고 남을 이롭게 하는데서 부터 생겨나는 것일까? 그러면 반드시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고 할 것이다. 반드시 말하기를 남을 미워하고 남을 해치는 데서 생겨난다고 말할 것이다.


세상에서 남을 미워하고 남을 해치는 자들을 분별하여 말할 것 같으면 그들은 모든 사람들과 아우르는가(兼) 차별(別)을 하는가? 그러면 반드시 말하기를, '차별(別)을 한다'고 말할 것이다. 그러니 서로 이러한 차별을 두는 자들은 결과적으로 세상의 큰 해(害)를 생기게 하는 해로운 자들일 것이다. 그러므로 묵자(墨子)는, “차별(別)은 옳지 않는 것이다.” 말한다(중략)


세상에서 여러 가지 이익(利益)이 생겨나는 원인을 추구해 본다면, 그것은 어디에서 생겨나는가? 그것은 남을 미워하고 남을 해치는데서 생겨나는가? 반드시 그렇지 않다고 말할것이다. 반드시 남을 사랑하고 남을 이롭게 하는 데에서 생겨난다고 말하게 될 것이다. 


세상에 이름을 나누어 말한다면 남을 사랑하고 남을 이롭게 하는 사람은 차별(別)하는 사람이겠는가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는(兼) 사람이겠는가? 반드시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는 (兼)' 라 말할 것이다. 그러니 서로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는(兼) 사람들이야말로 과연 세상에 큰 이익을 낳게 하는 이로운 사람들인 것이다. 그래서 묵자(墨子)는, "겸(兼)이 옳은 것이다" 말한다.(중략)


부형(父兄)이나 임금 보기를 그 자신과 같이 한다면 어찌 도리(道理)에 어긋나는 짓을 하겠는가? 그런데도 자애(慈愛)롭지 않은 사람이 있겠는가? 아우와 자식과 신하들 보기를 그 자신과 같이 한다면 어찌 자애롭지 않게 행동하겠는가? 그러므로 도리(道理)에 어긋나는 짓이나 자애(慈愛)롭지 않음이 있지 않게 될 것이다.(중략)


만약 온 세상으로 하여금 모두가 아울러 서로 사랑하게 한다면 나라와 나라는 서로 공격하지 않을 것이며, 집안과 집안은 서로 어지럽히지 않을 것이고, 도둑들은 없어지고 임금과 신하와 아버지와 자식들은 모두가 효도를 하고 자애로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된다면 곧 천하가 다스려질 것이다.


그러므로 세상 천하를 다스리는 일에 종사하는 성인이라면 어찌 악을 금하고 사랑을 권면(勸勉)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그러므로 온 세상이 모두 어우러져 서로 사랑하게 되면 곧 다스려지고, 모두가 서로 미워하면 어지러워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묵자(墨子)가 말하기를 “남을 사랑하라고 권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말한 것은 이 때문이다.(중략)


남을 해치는 사람은 자기를 사랑하면서 남을 사랑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남을 해침으로써 자신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남을 미워하는 사람은 남도 반드시 그에 따라 그를 미워하게 되며, 남을 해치는 사람은 남도 반드시 그에 따라 그를 해치게 된다. 천하를 어지럽히는 것은 모두 이러한 이치를 갖고 있다.墨子, '兼愛篇 '》


남의 나라 보기를 자기 나라 보듯하고, 남의 집안 보기를 자기 집 보듯 하며, 남의 몸 보기를 자기 몸 보듯 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후들이 서로 사랑하게 되면 들판에서 전쟁하는 일이 없게 되고, 가장(家長)들이 서로 사랑하게 되면 서로 빼앗는 일이 없게 되며, 사람과 사람이 서로 사랑하면 곧 서로 해치지 않게 된다. 


임금과 신하가 서로 사랑하면, 곧 은혜롭고 충성되게 될 것이며, 부자가 서로 사랑하면 곧 자애롭고 효성스럽게 될 것이고, 형제들이 서로 사랑하면 곧 우애를 이루게 될 것이다. 


세상 천하의 사람들이 모두가 서로 사랑한다면, 강한 자가 약한 자의 것을 빼앗지 않게 되고, 많은 사람들이 적은 사람들의 것을 겁탈하지 않게 되며, 부한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업신여기지 않게 되며, 귀한 사람들은 천한 사람들에게 오만하지 않게 되고, 간사(奸邪)한 자들이 어리석은 자들을 속이지 않게 될 것이다. 천하의 모든 재난과 원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은 서로 사랑함으로써만 가능한 것이다.《墨子, '兼愛篇 中'》


천하의 선비들 가운데는 차별없이 대하는 것을 그르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사람들은 "차별없이 대하는 것이 훌륭하기는 하지만 어떻게 그것을 실천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한다. 그런데 세상에 훌륭한데도 실천할 수 없는 것이 있을 수 있겠는가? 잠시 두 선비, 즉 차별을 주장하는 선비와 차별없이 사랑할 것을 주장하는 선비로 나누어 살펴보자.  


차별(別)하는 선비는 말하기를, 내 어찌 내 친구의 몸을 위하기를 내 몸 위하듯 하고, 내 친구의 어버이 위하기를 내 어버이 위하듯 할 수가 있겠는가 할 것이다. 그러므로 물러나 그의 벗을 볼 적에, 굶고 있어도 먹여 주지 않고 헐벗고 있어도 입혀 주지 않으며, 병(病)들어 있어도 간호(看護)해 주지 않고 죽더라도 장사(葬事)지내 주지 않을 것이다. 차별(別)하는 선비는 말도 그러하거니와 행동(行動)도 그러하다.


겸(兼)하는 선비는 말도 그렇지 않고 행동도 그렇지 않다. 그는 말하기를, 내가 듣건대 천하의 고상한 선비라면 반드시 그의 친구의 몸을 위하기를 자기 몸 위하듯 하고 그의 친구의 어버이 위하기를 자기 어버이 위하듯 해야하며, 그래야만 천하의 고상한 선비가 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물러나 그의 벗을 볼 적에 굶주리고 있으면 먹여주고 헐벗고 있으면 입혀 주며, 병들어 있으면 간호해 주고 죽으면 장사지내 줄 것이다. 겸(兼)하는 선비는 말도 그러하거니와 행동도 그러하다.墨子, '兼愛篇 下'》


군자는 물로 거울을 삼지 않고, 다른 사람을 거울로 삼는다...물로 거울을 삼으면 얼굴의 모습을 볼 수 있을 뿐이지만, 다른 사람을 거울로 삼으면 자신의 길흉(吉凶)을 볼 수 있다.墨子, '非攻篇'》


-묵자(墨子)-


※[옮긴이 주]


1. 겸(兼): 묵자의 글을 종합하면, 묵자가 말하는 겸(兼)이란, '자기와 남을 차별을 두지 않고 마치 자기처럼 똑같이 생각하는 것, 자기와 남의 차별이 없이 또는 사람들을 차등을 두지 않고 똑같이 대해 주는 것' 등을 의미한다. 즉 겸(兼)은 '서로 차별하거나 구별하지 않고 함께 어우러지고 화합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해도 되겠다. 이는 겸의 본질이 '인간의 존엄, 권리, 인격, 가치, 행복의 추구 등에 있어 차별이 없이 같은 상태를 말하는 평등(平等)의 정신'에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따라서 묵자의 겸애란, '나와 너의 사회적 구별이 없고 또 차별도 없는 무조건적이고 보편적인 사랑'을 뜻한다. 다시 말해 , '모든 사람들을  평등하게 마치 나를 사랑하듯 똑같이 사랑하는게 곧 겸애(兼愛)'라 하겠다. 묵자 천도편에서 따로 부연설명하기를, '겸애란 사심이 없는 것으로, 이는 어질고 의로운 마음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그 내용과 본질에서 예기(禮記)의 공자가 말한 대동(大同)의 정신,  고대 그리스의 '아가페(αγάπη)', 그리고 예수가 인류에게 몸소 가르쳐준 '사랑'과 일맥상통한다.

2.별(別): 겸(兼)의 반대가 별(別)이다. 별(別)이란, 자기와 남을 구별하여 자기를 중심으로 사람들을 차등(差等)을 두어 차별적으로 상대하는 것을 뜻한다. 그 바탕은 자기만을 이롭게 하고자 하는 이기주의의 심리가 깔려 있다. 인간 불평등의 모든 불합리는 바로 여기서부터 비롯된다고 봐도 무리는 없겠다. 묵자는 인간사의 모든 환난과 갈등과 재앙의 뿌리가 여기에 있다고 통찰했다.


※번역글 출처: 번역글은 묵자의 사상에 관한 여러 논문들(아래)을 비교 참조하고, 원문의 주요 부분을 발췌, 논문 저자들의 번역을 짜깁기 및 표절하고 정리하여 옮겼다.

※참조 논문: '묵자 사상의 현대적 의의'(장용숙, 한신대 2002), '묵자의 겸애사상에 관한 연구(나종선, 원광대 2002),'묵자의 교육사상 연구(김아연, 동국대 2011). '묵자의 가치관 연구'(임성빈, 부산대 2012), '묵자사상의 교육적 함의(이광언, 서울교대 2017).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