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명성만으로 호불호가 엇갈리는 속물들에 대하여(倭驢說 왜려설) /조귀명
하생(河生)의 이름은 징(澄)으로 대구 사람이다. 그의 이웃 집에 말이 한 마리 있었는데 모양새가 몽땅하고 왜소하여 타고 다니기에 적당하지 않았다. 내어다 팔려고 하였으나 다리까지 절었으므로 사려는 사람도 없었다. 이에 하생이 300전의 돈을 지불하고 시험삼아 길러보기로 하였다.
해를 넘기자 절던 다리도 나았고 재주도 예사롭지 않은 점이 있었다. 그 말을 타고 서울을 가는데 700리 길을 겨우 4일이면 도착할 수 있었다. 무릇 객주(客主)에라도 들게 되면 함께 쉬어 가거나 말에게 먹이를 먹이고 있던 나그네들이 모두들 힐끗힐끗 쳐다보면서 신기한 구경거리로 여겼다. 어떤 이들은 말이라고 하였으며, 또 어떤 이들은 당나귀라고도 하고 또 어떤 이들은 노새와 같이 생겼다고 하였다.
하생에게 진지하게 물어왔으므로 하생은 짐짓 농담으로 이것은 '왜당나귀'(倭驢)인데 왜관(倭館)에서 구입하였노라고 대답해 주니, 모두들 놀라워 하는 기색이었다. 값을 얼마나 치루어었느냐고 물으면 하생은 일부러 가격을 부풀려서 얼마를 주었노라고 대답해주니 모두들 그러하냐고 수긍하였다. 팔기를 청하는 자가 있으면 짐짓 잡아빼면서 아깝다는 내색을 보이니, 모두들 창연히 돌아가곤 하였다.
서울에 이르자 장안의 사대부들과 날로 더불어 상종하였는데, 그들이 묻는 말도 한결같이 객주에서 만났던 사람들의 질문과 같았으며, 하생 역시 그와 같이 대답해 주었다. 이에 이르자 사람들이 서로 다투어 사겠다며 줄지어 늘어서서 수십 일이 되도록 그치지 않았다. 이윽고 모든 사람들이 서로 이것을 진짜 '왜당나귀'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는 것을 헤아리고는, 사실을 사실대로 모두 설명해 주니 모두들 실망스럽다는 듯 속은 것을 부끄러워하였다.
이 일이 있은 후로는 하루 종일 마굿간 앞에 버티고 서있더라도 다시는 어느 누구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지나쳐 갔다. 하생이 말하기를,
"세상에서 이름만을 좋아하여 쉽게 속임을 당하는 것이 마치 이와 같다고 하겠다. 말이라고 하면 귀한 줄을 모르고 하찮게 여기다가 당나귀라고 하면 그것을 귀하게 여기고, 토산(土産)이라고 하면 이상할 것 없이 평범하게 여기다가도 왜(倭)에서 나온 물건이라고 하자 그것을 신기한 것으로 여기는구나. 몽땅하고 왜소하여 못 생긴 이 말에게 '왜당나귀라'는 이름을 붙여주자 사람들이 빈번하게 붙좇아 들었던 것은 오직 내가 그들에게 이것을 팔지 않을까 염려해서였다. 만약 그 때에 내가 오직 이익만을 챙기는 천장부(賤丈夫)처럼 처신하여 그들의 요구에 따라 순순히 그것을 팔아버렸다면 아무도 모르게 속임을 당하지 않을 자가 어디 있었겠는가." 라고 하였다.
동계거사(東谿居士)가 이 말을 듣고는 웃으며 말하기를, "그대는 유독 견양(汧陽)의 돼지라는 이야기를 들어보지 못하였는가. 옛날 소자첨(蘇子瞻)이 형양 지방의 돼지고기 맛이 지극히 좋다는 말을 듣고는 사람을 보내어 사오도록 하였다. 그런데 심부름을 갔던 자가 술을 마시고 취하여 돼지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심부름꾼은 할 수 없이 다른 돼지로 바치게 되었는데, 함께 고기를 먹게 된 사람들은 아무도 그 사실을 알지 못하고는 어느 고기도 비할 수 없는 지극한 맛이라며 크게 으쓱거렸다고 하지 않던가.
소문만을 듣고 음식을 구하는 그러한 습관은 아마도 옛날부터 그래 왔다. 그런데 하물며 통통하고 왜소하였으니 '왜당나귀'라는 이름으로 부르더라도 겉모습이 믿을만 했고 하루에 수백 리를 달릴 수 있어 그 재주도 또한 실재로 믿을만 하였으니, 이름(名)만을 믿을 수 있었던 형양의 돼지와는 비할 수 없는 바가 있다고 하겠다.
그건 그렇고 나의 생각은 이러하다. 그것을 먹어 보고 실제로 맛이 좋으면 먹으면 되는 것이지 하필이면 형양의 돼지이어야만 하겠으며, 타보고 실제로 잘 달린다면 타는 것이지 왜 하필이면 '왜당나귀'어야만 하겠는가? 저들 가운데, 하루에 수백 리를 가는 실재의 재주를 귀하게 여기면서 반드시 왜당나귀라는 이름을 가진 물건을 사려는 자도 실로 잘못이 지났치다고 하겠으나, 왜당나귀가 아닌 것이 판명되었다고 해서 하루에 수백 리를 달릴 수 있는 실재의 능력마저도 아울러 돌아보지 않는 자들이야 말로 더욱 옹졸함을 알 수 있다.
또 대저 이 말이 실로 천 리를 달릴 수 있으면 오추(烏騅), 적토(赤兎)와 같은 준마의 이름을 붙여줄 수 있는 것이고, 삼만 리를 달릴 수 있다면 녹이(騄駬), 황도(黃駼)와 같은 이름을 붙여줄 수도 있는 것이다. 어찌 이러한 경우에도 유독 '왜당나귀'라고 칭해야만 하겠는가?
진실로 실재(實在)에 있어 부끄러운 점이 없다면 명색(名色)이야 혹 빌려오거나 빗대어 견주더라도 혐의될 것이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른바 오추, 적토, 녹이, 황도라고 하는 것은 대개 상고 시대의 훌륭한 말의 이름에서 대부분 취하여 썼으며, 그리고 그것은 사람의 여하에 달려 있는 것이다.
가령 조(趙)나라의 마부가 저 유명한 왕량(王良)이라는 마부의 칭호를 모칭하고, 노(盧) 나라의 의사(醫師)가 저 유명한 편작(扁鵲)의 명성을 빌렸으되, 그 당시의 사람들은 이름을 모칭하고 명성을 빌렸다고 해서 그들이 세상을 속였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이를 통해 본다면 그대가 애초 세상을 속인 것이 아니며 세상도 역시 애당초 자네에게 속임을 당한 것이 아니었다. 속임수의 실체라는 것은, 가령 시장에서 값싼 채찍을 화려하게 치자(梔子)로 물들이고 밀납(蜜蠟)으로 광을 내어 비싼 값으로 팔아먹고, 그것을 사 간 자는 결국 제대로 한번 써보기도 전에 색이 바래고 망가지는 그러한 경우에나 가당한 것이다." 하였다.
하징이 요새 소설(小說)로 지어 전해달라고 부탁해 왔기에 이와같이 써서 보여주었다. 하징이라는 자는 다방면에 걸친 재주로 명성을 얻었다고 한다.
-조귀명(趙龜命1693 ~1737) '왜려설(倭驢說)' 『동계집(東谿集)』제 5권 / 說-
▲원글출처: ⓒ 한국고전번역원 ┃ 신용남 역
"명성이라는 것은 표면적으로는 인덕을 좋아하는 듯 하지만 실제 행동은 오히려 그렇지 못하고, 스스로 어진 사람이라고 여기며 살면서 그에 대한 의혹이 없다. 그런 사람은 관직에 있을 때도 거짓 명성을 취하고 집에 있을 때도 거짓 명성을 취하는 법이다." -공자(논어/안연편 20장)
'고전산문 > 동계 조귀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사물의 부림을 받지 않으려면 / 조귀명 (0) | 2018.06.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