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따르는 사람(從者)을 보아서 그 선생을 안다
유가(儒家)의 류(流)인 담은선생(談隱先生)이 금남(錦南)에 살았다. 하루는 금남에 사는 야인(野人)으로 유(儒, 유학자, 선비)란 이름을 듣지 못한 자가 선생을 보려고 와서 선생의 종자(從者)에게 하는 말이, “나는 야인이라 비루하여 원대한 식견이 없으나, 들으니 ‘위에 거하여 나라의 정사를 다스리는 이를 경대부(卿大夫)라 하고, 아래에 거하여 밭을 가는 이를 농부라 하고, 기계를 만드는 이를 공인(工人)이라 하고, 화물을 사서 파는 이를 상인[商賈]이라 한다.’ 하는데, 이른바 유(儒)라는 것이 있는 줄은 몰랐더니, 어느 날 우리 고을 사람이 떠들썩하게 ‘유자(儒者)가 왔다, 유자가 왔다.’ 하기에 보니 바로 선생이었습니다. 선생은 무슨 업을 하고 계시기에 사람들이 유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였다. 종자는 답하기를,
“선생의 하시는 것은 광범합니다. 그 학문의 범위가 천지를 포괄해서 음양(陰陽)의 변화와 오행(五行)의 분포와 일월성신(日月星辰)의 조림(照臨, 세상에 내리비침)으로부터 산악(山嶽)ㆍ하해(河海)의 흐르고 솟음과 초목의 크고 시듦이며 귀신의 정(情)과 유명(幽明)의 이치까지 통달하며, 그 윤리(倫理)를 밝힘에 있어서는 군신간에 의(義)가 있는 것, 부자간에 은(恩)이 있는 것, 부부간에 분별이 있는 것, 장유(長幼)는 차례가 있고 친구간에는 믿음이 있어야 함을 알아서, 그를 공경하고 친애하고 분별하고 차례를 지키고 믿음을 갖게 합니다.
또 고금(古今)을 통달함에 있어서는 처음 문자가 있을 때부터 지금까지 이르도록 세도(世道)의 승강(升降)과 풍속의 미악(美惡)과 그리고 밝은 임금과 어두운 임금, 간신과 충신들의 언어ㆍ행사의 잘잘못이며 예악형정(禮樂刑政)의 연혁과 득실이며, 현인군자(賢人君子)의 출처와 거취(去就) 등이 관통하지 않은 것이 없으며, 그 추향(趨向, 흐름의 방향)의 바른 것에 있어서는 성(性)이 천명(天命)에서 근본하여 사단(四端)ㆍ오전(五典) 그리고 만사(萬事) 만물의 이치가 그 성(性) 가운데에 통합되어 있지 않음이 없음을 알고 있으니 이것은 불가(佛家)에서 이른 공(空)도 아니며, 또 도(道)가 인생 일상생활의 떳떳한 것에 갖추어 있고 천지의 모든 형체를 포괄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으니 도가(道家)에서 일컫는 무(無)도 아닙니다.
그래서 불ㆍ노(佛老)의 사특한 해를 분변하여 백 대의 무지한 의혹을 열어 주었으며, 시속의 공리설(功利說)을 꺾어 도의(道誼)의 올바른 데로 돌아가게 했으니, 임금이 그를 쓰면 위가 편안하고 아래가 안온하며, 자제가 그를 따르면 덕이 높아지고 업이 진취될 것이요, 궁하여 때를 만나지 못하면 글로 써서 후세에 전할 것이며, 또 그 자신을 독실히 하는 데 있어서는 차라리 세속에서 비방을 당할지언정 성인의 가르친 뜻은 저버리지 못하며, 차라리 그 몸이 주려서 아주 곤경에 빠질지언정 불의를 범하여 이 마음을 부끄럽게 하지 않는 것이 이 유자의 업이며 선생님이 하고자 하시는 바입니다.” 하니, 야인은 말하기를,
“그 말은 사치스럽습니다. 너무 과장한 것이 아닙니까? 내가 우리 동네 어른에게 들으니, 그 실상이 없으면서 그 이름만 있으면 귀신도 미워하고, 비록 그 실상이 있더라도 스스로 밖에 폭로하는 것은 남들이 성내는 바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어질다 자처하고 남을 대하면 남이 허여(許與, 인정하여 허락함)하지 않고, 자신이 지혜롭다 자처하면서 남을 대하면 남이 도와 주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군자는 이를 삼가는데 그대는 선생을 좇아 노닐며 그 말이 이러하니 그 선생을 알 만합니다. 그는 귀신이 미워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반드시 타인의 노여움을 살 것입니다. 아아! 선생은 위태하겠으니 나는 화가 미칠까 두려워 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하고는 소매를 뿌리치고 가버렸다.
※[역자註]
1)사단(四端) : 인ㆍ의ㆍ예ㆍ지(仁義禮智)의 단서(端緖)가 되는 네 가지의 마음씨. 곧 측은지심(惻隱之心)ㆍ수오지심(羞惡之心)ㆍ사양지심(辭讓之心)ㆍ시비지심(是非之心)을 이름.
2)오전(五典) : 사람으로서 떳떳하게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곧 오륜(五倫)으로 부자유친(父子有親)ㆍ군신유의(君臣有義)ㆍ부부유별(夫婦有別)ㆍ장유유서(長幼有序)ㆍ붕우유신(朋友有信)을 말함.
-정도전(鄭道傳 1342~1398), '금남야인(錦南野人)' 『삼봉집 제4권/설(說)』-
▲원글출처: ⓒ 한국고전번역원 ┃ 김도련 (역) ┃ 1977
'고전산문 > 삼봉 정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굽은 세상에서 죄가 되는 것 (0) | 2018.01.01 |
---|---|
[고전산문] 원망하거나 근심하지 않는 이유 (0) | 2018.01.01 |
[고전산문] 진리가 어지럽혀지고 사람의 도가 없어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 (0) | 2018.01.01 |
[고전산문] 사물로 인하여 성현이 누린 즐거움을 아는 일은 쉬운게 아니다 (0) | 2018.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