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師說): 스승에 대하여
옛날의 학자에게는 반드시 스승이 있었으니, 스승이라 하는 것은 도를 전하고 학업과 배움의 방법을 가르쳐 주고 의혹을 풀어주기 위한 방편으로 존재한다. 사람은 나면서부터 아는 것이 아닐진대 누가 능히 배움에 의문과 의심이 없을 수 있으리오. 학업에 있어서 의문을 갖고 의심을 하면서도 스승을 따르지 않는다면 그 의혹된 것은 끝내 풀리지 않는다.
누구든 나보다 먼저 나서 그 도를 들음이 진실로 나보다 앞선다면, 나는 그를 좇아서 나의 스승으로 할 것이요. 나보다 뒤에 났다 하더라도 그 도를 들음이 또한 나보다 앞선다면 이 또한 나는 그를 쫓아 스승으로 삼을 것이다. 나는 도를 스승으로 삼기 때문에 어찌 그 나이를 따져서 나보다 먼저 나고 나중에 난 것에 연연해하리오. 이런 까닭에 스승을 삼음에는 귀한 것도 없고 천한 것도 없으며, 나이 많은 것도 없고 적은 것도 없는 것이요, 오직 도가 있는 그곳이 나의 스승이 있는 곳이다.
슬프다! 사도(스승의 도)가 제대로 전해지지 않은지 오래되었으니 사람이 의혹이 없고자 하기는 어렵다. 옛날 성인은 보통 사람들보다 훨씬 뛰어 났음에도 오히려 스승을 좇아 물었건만,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그 성인보다 훨씬 못함에도 스승에게서 배우기를 부끄러이 여긴다. 이렇기 때문에 성인(聖人)은 더욱 더 성인다워지고, 어리석은 사람은 갈수록 어리석어진다. 성인이 성인 된 까닭과 어리석은 사람이 더욱 어리석어지는 까닭이 모두 여기에 있다.
자식을 사랑함에 스승을 잘 가리고 택하여 가르치면서도, 막상 자신은 스승을 두어 배우기를 부끄러이 여기니 이는 미혹한 탓이다. 저 동자의 스승은 그에게 책을 주어서 그 읽는 방법(句讀)를 익혀 주는 사람이니 내가 말한 바 도를 전하고 그 의혹을 풀어주는 사람이 아니다. 책읽는 법를 모르는 것과 의혹을 풀지 못하는 것때문에 스승을 두기도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으니 이는 작은 것은 배우고 큰 것은 버리는 것이다. 때문에 나는 책읽는 법을 안다고 하는 그것을 결코 명철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
무당, 의원, 악사, 온갖 장인 등은 서로 기꺼이 스승이 되어 주기를 부끄러이 여기지 않는다. 그런데 사대부의 족속들은 스승이라 하고 제자라고 말하면 모두들 모여서 이를 수근대며 비웃는다. 그 까닭을 물으면 곧 말하기를, “저 스승이란 사람과 저 제자라는 사람은 나이가 서로 같고, 도가 서로 비슷하다.”고 판단하기를 마지 않는다. 만일 스승된 사람의 지위가 낮으면 수치스럽게 여겨 비웃고, 벼슬과 지위가 높으면 아첨한다고 판단한다.
슬프도다! 사도(師道, 스승의 도)가 회복되지 않음을 가히 알 만하도다. 소위 군자라 하는 작자들이 무당, 의원, 악사 및 온갖 장인들을 비천하게 여기지만, 오늘 날 그 지혜가 오히려 저들에게 미칠 수가 없으니 괴이하게 여길 만하다.
성인은 본래 일정한 스승이 따로 없다. 공자는 일찍이 담자, 주나라의 대부 장홍, 노나라의 악관 사양, 도가의 시조 노자에게 가르침을 받았는데, 담자의 무리들은 그 인품과 어짊이 공자에 미치지 못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세 사람이 동행한다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三人行 則必有我師(삼인행 칙필유아사)”고 하셨다. 그러므로 제자라고 해서 반드시 스승만 못한 것이 아니며, 스승이라고 반드시 제자보다 현명한 것은 아니다. 다만 도를 듣고 아는 것이 나보다 먼저인가 뒤인가에 있고, 업을 술함에 그 분야에 정통한가 아닌가에 달려있을 뿐이다.
이씨의 아들 반이란 사람이 나이 겨우 열 일곱에 옛 학문을 좋아하여, 육예의 경전을 다 통하여 익히더니 세상 형편에도 아랑곳없이 나에게 배우기를 희망해 왔다. 나는 그가 옛 성인의 도를 배우고 행하려는 것을 가상히 여겨 이 사설을 지어 써 그에게 주노라.(※개인적인 이해를 돕기위해 번역글을 필사하여 옮기면서 문장과 문맥을 약간 다듬다)
-한유(韓愈, 韓退之768~824), '사설(師說)', 『고문진보후집(古文眞寶後集)』-
▲원글출처: 오세주의 한시감상실
'고전산문(중국) > 한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참으로 덕(德)이 있어 훌륭한 말을 한다 (0) | 2018.03.16 |
---|---|
송궁문(送窮文): 가난을 멀리 떠나 보내다 (0) | 2017.12.25 |
송맹동야서(送孟東野序):소리는 평정을 얻지 못하면 나온다 (0) | 2017.12.25 |
글자(字句)를 배열하는 것만으로 좋은 문장을 기대할 수 없다 (0) | 2017.12.25 |
원훼(原毁):비방과 훼방의 근원 (0) | 2017.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