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당론(朋黨論): 소인배의 붕당은 거짓이다

신(臣)은 듣기에, 붕당(朋黨)이라는 말이 예부터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다행한 것은 오직 임금이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을 분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릇 큰 군자는 군자와 더불어 도(道)를 함께 함으로서 붕(朋, 뜻을 함께하는 벗의 무리)을 만들고, 소인은 소인과 더불어 이익(利益)를 함께함으로써 붕(朋)을 만듭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이치입니다. 


그러나 신은 생각건대 소인은 붕이 없고, 오직 군자라야 그것이 있다고 여깁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까닭은 이렇습니다. 소인은 좋아하는 것이 이익과 녹봉(보수)이고, 탐내는 것은 재물과 화폐입니다. 그 이로움이 같을 때를 당해서 잠시 서로 끌어들여 당(黨,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무리)을 만들어 그것을 붕(朋)이라고 하는 것은 거짓입니다. 그 이로움을 보고 앞을 다투는데 이르러서는 간혹 이익이 다하면 사귐이 멀어지고 심한 자는 도리어 서로 해쳐서, 비록 그 형제친척일지라도 능히 서로의 의리를 보전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까닭에 신(臣)이 말하기를 "소인은 붕이 없고, 잠시 붕이 된 것은 거짓이다."라고 판단하는 이유입니다. 


군자는 그렇지 않습니다. 지키는 바가 도의(道義)요, 행하는 것이 충신(忠信)이며, 아끼는 것이 명예(名譽)와 절개(節槪)입니다. 그것으로써 몸을 닦으며 도(道)를 함께하여 서로 이롭도록 도웁니다. 이로써 나라를 섬기면 같은 마음으로 함께 다스려 끝과 시작이 변치않고 한결 같습니다. 이것이 군자의 붕입니다. 그러므로 임금이 된 자는 다만 마땅히 소인의 그릇된 붕을 물리치고 군자의 진정한 붕을 쓴다면 천하가 잘 다스려질 것입니다. 


요(堯)임금 시절에 소인배인 공공(共工), 환두(驩兜)등의 네 명이 하나의 붕을 만들었고, 군자인 팔원(八元), 팔개(八愷)등 16명이 하나의 붕을 만들었었는데, 순(舜)은 요임금을 도와서 네 사람의 흉악한 소인의 무리를 물리치고, 팔원(八元), 팔개(八愷)등의 무리를 나아가게 하였습니다. 이로써 요임금의 천하가 크게 다스려졌으며, 순(舜)이 스스로 천자가 됨에 이르러서는 이(皐), 고(夔), 직(稷), 계(契)등 22인이 조정에 나란히 늘어서서 서로의 장점을 들어 칭찬하며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여 서로 밀어주고 기꺼이 사양했습니다. 이처럼 무릇 22명이 한 붕이 되었는데, 순은 모두 등용을 해서 이들과 함께 천하를 의롭게 잘 다스렸습니다.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당(唐) 주왕에게 신하가 억만명이 있었는데 오직 억만명 각자의 마음이라, 결국 당(唐)나라는 멸망하게 되었다. 주(周)나라의 신하는 삼천명이 있었는데 오직 한 마음이었다."하였습니다. 주왕의 시절에 억만명의 마음이 각각 달랐기 때문에 붕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 주왕은 바로 이 때문에 나라가 멸망하게 만들어 버렸습니다. 반면에 주나라 무왕의 신하 3천명은 하나의 큰 붕이 되어 나라가 그들을 등용하자 부흥하게 되었습니다.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에 천하의 명사들을 다 잡아들여 옥에 가두고 구금하여 당인(黨人)이라 지목하였습니다. 그후 황건적이 일어나서 나라가 도탄에 빠지고 한나라 황실이 크게 어지러위지고 위태로워지니, 그제서야 잘못을 깨달아 후회하고 당인을 석방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미 도탄에 빠져 어지러워진 나라는 구제할 수가 없었습니다. 당나라 말년에 이르러 붕당(朋黨)의 논의(論議)가 점점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당 소종 때에 이르러서는 조정의 명사를 다 죽여서 간혹 황하 강에 던지며 말하기를 "이들은 맑은 무리들이다. 혼탁한 물에 던질만하다." 라고 하였습니다. 결국 당나라는 마침내 멸망하고 말았습니다. 


대저 앞 시대의 군주 중에서 능히 각 사람마다 마음을 달리 하게 만들어 붕을 하지 못하게 함은 주왕과 같은 자가 없었고, 선하고 현명한 인물이 붕을 함을 금지한 것은 후한(後漢)의 헌제(獻帝)만한 이가 없었고, 맑은 무리들의 붕을 베고 죽인 것은 당나라 소종의 시대만한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대개 그때문에 나라를 혼란시키고 마침내 멸망하였습니다.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서로의 아름다움을 들어 칭찬하고 서로를 밀어주고 기꺼이 사양하여 서로를 의심하지 않음은 순(舜)의 22명 만한 이가 없었고, 순(舜)임금 또한 의심하지 않고 이들을 모두 등용하여 나라를 다스리는데 힘썼습니다. 하지만 후세에 순임금이 22명의 붕당에게 속임을 당하였다고 책망하지 않고, 오히려 순임금을 총명한 성인(聖人)이라고 칭하는 것은, 그가 군자와 소인을 제대로 분별하였기 때문입니다. 


주나라 무왕의 시대에는 그 나라의 신하 3천명이 모두 하나의 붕이 되었으니, 예로부터 붕을 함에 많으면서도 큰 것은 주나라 만한 나라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주나라가 이들을 등용하여 부흥한 것은, 올바른 말을 하는 선인이 비록 많더라도 싫어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대저 지난 역사를 통해서 흥망(興亡)과 치란(治亂)의 자취를 임금이 된 자는 반드시 거울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번역글을 필사하여 옮기면서 개인적이해를 돕기위해 일부 문장과 문맥을 다듬다)


-구양수(歐陽脩,1007~1072 ), '붕당론(朋黨論))',『고문진보후집(古文眞寶後集)』-


▲원글출처: 오세주의 한시감상실


**옮긴이 註: 


1. 붕(朋)과 당(黨)의 개념 구분

성리학에 의하면, 붕(朋)은 '벗들의 모임 또는 동문(同門)의 무리(관자, 춘추)'를 뜻하며  그 무리가 추구하는 바는  공도(公道)의 실현을 추구하고 서로 도우는 좋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붕우(朋友)는 동류지인(同類之人), 즉 같은 무리의 사람으로 무엇보다 서로간의 믿음과 의리를 강조하였다(붕우유신). 반면에 당(黨)은 '이해관계로 모인 무리'라는 뜻으로 논어집해에는 '군자불당, 군이부당' 이라하여 그추구하는 바가 사적이고 편파적인 것으로 보고 이를 경계하였다. 붕당론을 자세히 읽어보면 '저들의 일이 아닌 바로 나의 일'일 수도 있음을 자각케 한다. 정치 사회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소인과 군자의 분변, 그리고 붕(朋)의 뜻하는 바는 나와 나, 나와 너, 나와 우리, 우리와 너라는 인간관계에도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2. 붕당(朋黨), ①뜻이나 이익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의 결합체 ②[역사] 예전에, 중국이나 조선에서 정치적 이념과 주장 또는 이해관계에 따라 결합한 사림(士林)의 집단을 이르던 말.(다음백과)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