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우물안 개구리와 여름벌레

가을이 되면 모든 냇물이 황하로 흘러든다. 그 본 물줄기는 넓고도 커서 양편 물가의 거리가 상대편에 있는 소나 말을 분별할 수 없을 정도다. 그래서 황하의 신인 하백(河伯)은 몹시 기뻐하며, 천하의 아름다움이 모두 자기에게 있다고 생각하였다. 하백은 강물의 흐름을 따라 동으로 가서, 마침내 북해에 다다랐다. 그런데 그 곳에서 동쪽을 바라보았지만 물의 끝이 보이지 않았다. 


황하의 신은 비로소 그의 얼굴을 돌려 북해의 신인 약(若)을 우러러 보았다. 그리고 탄식하며 말했다. “속담에 이르기를, '백가지 도리를 알고는 자기 만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는 자가 있다'(聞道百以爲莫己若者 문도백이위막기약자)고 하였는데, 저를 두고 한 말인 것 같습니다.


저는 일찍이 공자의 학식과 견문을 낮게 평가하고 백이의 절개와 의리(節義)를 가볍게 여기는 이야기를 듣고도, 지금까지는 믿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에 와서 끝을 알 수 없는 당신의 모습을 보고서야 그런 것 같다고 느껴집니다. 제가 선생님의 문하로 들어오지 않았다면 큰일날 뻔 했습니다. 아마도 저는 오랫동안, 위대한 도(道)를 터득한 사람들의 비웃음거리가 될뻔했기때문입니다.”


북해의 신이 말했다.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공간의 구속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름 벌레에게 어름에 대해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시간에 집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뚤어진 선비에게 도(道)에 관해 얘기를 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규범에 얽매인 속된 가르침에 속박되어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당신은 강가의 범주를 벗어나 큰 바다를 보고서야 당신의 추함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더불어 위대한 도리를 이야기해도 당신은 이해할 수 있겠다.


세상의 물 중에 바다보다 더 큰 것은 없다. 모든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며, 잠시도 흐르는 것을 멈추지 않는 데도 차서 넘치는 법이 없다. 미려(眉閭, 물이 흘러나오는 근원지)에서는 바닷물이 잠시도 쉬지 않고 흘러 나가지만, 물이 어느 때에 말라서 비어버리는지 알수 없다. 봄이나 가을에도 변화가 없고, 장마가 지나 가뭄도 모른다. 


이 바다가 장강이나 황하의 흐름보다 얼마나 방대한 것인가는 수량으로 계측할 수 없다. 그러나 나는 이런 것으로 스스로 많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그것은 내 형체를 하늘과 땅으로부터 물려 받았고 그 기운은 음양에서 받았다. 그래서 내가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것이 마치 작은 나무나 작은 돌이 마치 큰산에 있는 것처럼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나의 존재를 작게 보고 있는데 또 어찌 자만하여 스스로 뛰어나다고 생각할 수 있겠는가?


사방의 바다가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크기를 헤아려보면, 작은 구멍이 큰 연못가에 나 있는 것과 비슷하지 않은가? 한 나라가 세상에 차지하는 크기를 헤아려 보면 큰 창고 속에 있는 곡식 알 하나와 비슷하지 않은가?


사물을 호칭하는 숫자는 수만을 헤아린다. 사람들은 그 중 하나의 숫자를 차지할 뿐이다. 사람의 숫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사람이 살고 있는 세상 전체를 생각해보아도 곡식들이 생산되는 곳과 배와 수레가 통하는 곳이면 어디에서건 살고 있는데, 사람이란 그 중 하나에 불과하다. 이런 사람을 만물과 비교해 본다면 말의 몸에 있는 하나의 가는 털에 지나지 않겠는가?.

오제(五帝)가 임금의 자리를 서로 물려준 것이나, 삼왕(三王)에 이르러 서로 다툰 것이나, 어진 사람이 근심하는 것이나,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이 수고를 하는 것이나 모두가 이와 같이 작은 일이다.

백이는 임금의 자리를 사양함으로써 명성을 얻었고, 공자는 여러 가지 가르침을 강론하여 박학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 뛰어나다고 여기고 있었지만, 당신이 조금 전까지 스스로 물 중에 가장 뛰어나다고 여기던 것과 비슷하지 않은가?

-장자(莊子) 외편(外編),秋水篇(추수편)부분 발췌 - 


▲원글출처: 인터넷 여기저기 (※개인적으로 원만한 이해를 위해 인터넷에 공개적으로 올라와 있는 여러 번역글들과 원문을 비교 참고하여, 부분적으로 맥락에 맞게 일부분을 다듬고, 약간 고쳤다. 맥락을 같이하는 전체 글이 꽤 길다. 물론 하백이 질문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각 단락을 끊어 읽어도 독자적인 주제가 가능하다. 옮기는 김에 그냥 맥락이 연결되는 부분 전체를 옮겼다.)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