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의 차이

선량한 행위를 보면 엄정하게 반드시 그것으로 자기를 반성해보고, 선량하지 않은 행위를 보면 두려운 마음으로 반드시 그것으로 자기를 반성해보아, 선량한 품행이 자기에게 있을 경우 정갈하게 여겨 반드시 그것을 스스로 좋아하고, 선량하지 않은 품행이 자기에게 있을 경우 더럽다고 여겨 반드시 그것을 스스로 혐오해야 한다.


그러므로 나를 지적하는데 그 지적이 합당한 사람은 나의 스승이고, 나에게 찬성하는데 그 찬성이 합당한 사람은 나의 벗이며, 나에게 아부하는 사람은 나의 적이다. 


이 때문에 군자(君子)는 스승을 존중하고 벗을 가까이하면서 그 적을 철저히 증오하고, 선량한 품행을 좋아하여 싫증을 내지 않고 충고를 받아들여 경계심을 갖는다. 이렇게 하면 비록 진보하지 않으려 한들 그게 되겠는가. 


소인(小人)은 이와 반대이다. 극도로 난잡하면서도 남이 자기를 책망하는 것을 싫어하고, 극도로 무능하면서도 남이 자기를 유능하다고 말해주길 바라며, 마음씨는 범과 이리 같고 행위는 금수 같으면서도 또 남이 자기를 공격하는 것을 싫어하고, 아부하는 자는 가까이하고 충고하는 자는 멀리하며, 남이 선량하고 바른말을 해주는 것을 비웃은 것으로 여기고 남이 매우 충성스럽게 대해주는 것을 해롭게 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렇게 하면 비록 멸망하지 않으려 한들 그게 되겠는가.


시경≪詩經≫에 “줏대 없이 어울리고 비방해대니 그 모양 서글프기 그지없어라. 여러 계책 가운데 좋은 것들은 하나같이 모두를 어겨버리고, 여러 계책 가운데 좋지 않은 건 하나같이 모두를 따르고 있네.”라고 하였는데, 곧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권학편(勸學篇)>


군자는 소인의 반대이다. 군자는 심지(心志, 마음에 품은 뜻)가 크게 트였을 때는 하늘을 공경하여 사리를 순종하고, 심지가 미약할 때는 정의를 경외하여 자기를 절제하며, 지혜로울 때는 사리에 밝아 만물의 이치를 유추해 알고, 어리석을 때는 단정하여 법을 준수하며, 임용되었을 때는 공손하여 예(禮)가 있고, 거절당했을 때는 마음을 가다듬어 자기를 다스리며, 즐거울 때는 그것을 느긋하게 처리하고 근심스러울 때는 그것을 냉정하게 처리하며, 현달(일이 형통하여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고 높아짐)할 때는 예법을 중시하여 사리에 밝고, 곤궁할 때는 자신을 수렴하여 처신을 신중하게 한다.


소인은 그렇지 않으니, 심지가 크게 트였을 때는 오만하여 사납고, 심지가 미약할 때는 사악하여 남을 음해하며, 지혜로울 때는 남의 것을 훔쳐 기만하고, 어리석을 때는 남을 해쳐 혼란을 야기하며, 임용되었을 때는 약삭빠르게 거만을 피우고, 거절당했을 때는 원한을 품어 음흉해지며, 기쁠 때는 경박하여 건들거리고, 근심스러울 때는 좌절하여 두려워하며, 현달할 때는 교만하여 편파적이고, 곤궁할 때는 자신을 스스로 포기하여 비굴해진다.


옛글에 이르기를 “군자는 두 상황 속에서 진보하고 소인은 두 상황 속에서 타락한다,”라고 하였으니, 곧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군자는 재능이 있어도 아름답고 재능이 없어도 아름답지만, 소인은 재능이 있어도 추하고 재능이 없어도 추하다. 군자는 재능이 있으면 관대하고 온화하며 정직한 품성으로 다른 사람을 지도하고, 재능이 없으면 공경하고 겸손한 태도로 다른 사람을 정성껏 섬기지만, 소인은 재능이 있으면 거만하고 간사한 심술로 다른 사람을 깔아뭉개고, 재능이 없으면 질투하고 원망하며 비방하는 태도로 다른 사람을 넘어뜨린다. 


이 때문에 “군자는 재능이 있으면 사람들이 그에게 배우는 것을 영광으로 여기고, 재능이 없으면 사람들이 또 그에게 무엇을 말해주는 것을 즐겁게 여기지만, 소인은 재능이 있으면 사람들이 그에게 배우는 것을 비천하게 여기고, 재능이 없으면 사람들이 또 그에게 무엇을 말해주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곧 군자와 소인의 구분이다.<불구편(不苟篇)>


-순자집해(荀子集解), '권학편 (勸學篇)', '불구편(不苟篇)'중에서 발췌- 


▲원글출처: 전통문화연구회/동양고전종합DB(http://db.cyberseodang.or.kr)

TAG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