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유정부서(答劉正夫書):뛰어난 문장이란
유(愈)는 진사(進士) 부군(劉君) 족하(足下)에게 아룁니다. 주신 편지를 받아보니 나의 부족한 곳을 가르쳐주셨습니다. 이미 두터운 은혜를 입었고 또 부끄럽게도 나의 부족한 점이 진실로 지적하신 것과 같으니, 매우 다행입니다.
주현(州縣, 지방)의 천거를 받아 진사과(進士科)에 응시(應試)한 자는 어느 선진(先進)의 집엔들 찾아가지 않겠습니까? 선배의 문하에 후배가 찾아오면 선배가 어찌 그 성의에 보답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찾아오면 접대하는 것은 온 성안의 사대부가 모두 그렇게 하지 않는 이가 없는데 나만이 불행하게도 후배를 접대한다는 명성이 났으니, 명성이 있는 곳은 비방이 돌아오는 곳입니다.
찾아와서 묻는 자가 있으면 감히 성실히 대답하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어떤 자가 와서 “문장을 지을 때 누구를 본받아야 하느냐?”고 물으면 나는 반드시 정중하게 “옛날 성현(聖賢)을 본받아야 한다.”고 대답해주었고, “옛 성현이 지은 책이 모두 남아 있지만, 문사(文辭)가 모두 같지 않으니, 누구를 본받아야 하느냐?”고 물으면 나는 반드시 정중하게 “그 뜻만을 본받고 그 문사는 본받지 않아야 한다.”고 대답해주었습니다.
또 “문장을 쉽게 지어야 하는가, 어렵게 지어야 하는가?” 하고 물으면 나는 반드시 정중하게 “어렵고 쉬움에 마음을 쓰지 말고 오직 도리에 맞기만을 추구하라.”고 대답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일러주었을 뿐이고, 굳이 이렇게 지으라고 인도하지도 저렇게 짓지 말라고 금하지도 않았습니다.
아침저녁으로 보는 각종 물건은 사람들이 주의해 보지 않지만 기이한 물건을 보게 되면 사람들은 함께 구경하면서 서로 이야기를 합니다. 문장도 어찌 이와 다르겠습니까? 漢나라 때 사람은 능숙하게 문장을 짓지 못하는 이가 없었으나, 유독 사마상여(司馬相如)‧태사공(太史公 사마천)‧유향(劉向)‧양웅(揚雄)의 문장만이 가장 뛰어났습니다.
그렇다면 공부가 깊은 자는 그 명성이 오래도록 전해지지만, 세상의 조류(潮流)에 휩쓸리고 자신의 주장을 세우지 못한 문장이라면 비록 당시에는 괴이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반드시 후세에 전해지지 않을 것입니다.
족하(足下) 집안에 있는 각종 물건은 모두 편리하게 쓰는 물건들입니다. 그러나 족하가 진귀하게 여겨 아끼는 것은 반드시 이런 평범한 물건이 아닐 것입니다. 군자가 문장에 있어서도 어찌 이와 다르겠습니까?
지금 후진(後進)이 문장을 지음에 있어 성인의 글을 깊이 탐구하여 그 뜻을 능력껏 가져다가 옛 성현의 글을 본보기로 삼는 자들의 문장이 비록 모두 정확하게 도리에 맞는 것은 아니지만, 요컨대 사마상여‧태사공‧유향‧양웅 같은 무리가 나온다면 반드시 이 무리 중에서 나오지, 통상적인 문장을 인습하는 무리에서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성인의 도(道)를 문장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만이지만 사용한다면 반드시 성인의 문장 중에 가장 뛰어난 것을 소중하게 여길 것입니다. ‘뛰어난 문장’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능히 자신의 주장을 세우고 통상적인 문장을 인습하지 않는 문장이 바로 그것입니다.
문자(文字)가 생긴 이래로 누군들 문장을 짓지 않았겠습니까? 그러나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은 반드시 뛰어난 문장뿐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항상 단지 이렇게 말하였을 뿐입니다.
나는 부끄럽게도 족하(足下)와 같은 길을 걷는 선배이고, 또 항상 현존급사(賢尊給事)와 종유(從遊, 학식과 덕이 높은 사람들을 쫓아 함께 어울림)하는 사이입니다. 이미 두터운 은혜를 입었으니, 또 어찌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말하여 회답(回答)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족하는 어찌 생각하십니까? 유(愈)는 아룁니다.
※[역주]
1. 현존급사(賢尊給事) : 현존(賢尊)은 남의 아버지에 대한 경칭(敬稱)이다. 유정부(劉正夫)의 아버지 유백추(劉伯芻)가 이때 문하성(門下省) 급사중(給事中)이었다.
-한유(韓愈, 한퇴지韓退之 768~824), '유정부에게 답한 편지(答劉正夫書)',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卷4 /書 11』-
▲원글출처: 전통문화연구회/동양종합고전DB
'고전산문(중국) > 한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훼(原毁):비방과 훼방의 근원 (0) | 2017.12.25 |
---|---|
모영전(毛穎傳) (0) | 2017.12.25 |
답풍숙서(答馮宿書)나의 허물을 일러주는 사람은 나의 스승 (0) | 2017.12.25 |
의란조(猗蘭操) (0) | 2017.12.25 |
답위지생서(答尉遲生書): 문장(文章)이란 반드시 내면에 쌓인 것이 있어야 한다 (0) | 2017.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