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곡목설(曲木說):사람의 본성과 나무의 속성은 본질에서 다르다
이웃에 장생(張生)이라는 자가 살고 있었다. 장차 집을 지으려고 산에 들어가 재목을 구하였는데 빽빽이 들어찬 나무들 모두가 구불구불하게 비틀어져 용도에 맞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산속에 있는 무덤 가에 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는데 앞에서 보아도 곧바르고 왼쪽에서 보아도 쭉 뻗었으며 오른쪽에서 보아도 곧기만 하였다. 그래서 좋은 재목이라 생각하고는 도끼를 들고 그쪽으로 가서 뒤에서 살펴보니 슬쩍 구부러져 쓸 수 없는 나무였다.
이에 도끼를 내던지고 탄식하기를, “아, 재목이 될 나무는 얼른 보아도 쉽게 알 수가 있어 고르기가 용이한 법인데, 이 나무의 경우는 내가 세 번이나 다른 쪽에서 살폈어도 쓸모없는 나무라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 그러니 용모를 그럴 듯하게 꾸미면서 속마음을 숨기고 있는 사람의 경우야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그 말을 들어 굽은 나무와 (비교해)보면 조리가 정연하고 그 용모를 살펴보면 선량하게만 여겨지며 사소한 행동을 관찰해 보아도 삼가며 몸을 단속하고 있으니 영락없이 군자의 모습이라고 할 것인데, 급기야 큰 변고를 당해 절개를 지켜야 할 때에 가서는 본래의 정체를 여지없이 드러내고 마니, 국가가 결딴나고 마는 것은 늘 이런 자들 때문이다.
대저 나무의 생장 과정을 보건대, 소나 염소가 짓밟지도 않고 도끼나 자귀에 의해 해침을 받지도 않는 채 비와 이슬을 맞고 무성해지면서 밤낮으로 커 나가니 쭉쭉 뻗어 곧게 올라가야 마땅할 것인데도 그만 이토록까지 구부러져 쓸모없이 되는 경우가 또한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이 세상에 몸을 담고 있는 사람의 경우야 더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물욕(物欲)이 참된 성품을 혼탁하게 하고 이해(利害) 관계가 분별력을 흐리게 한 나머지 천성(天性)이 왜곡되어 본래의 모습에서 일탈된 경우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으니, 별나게 행동하며 속임수를 쓰는 자는 많고 바르고 곧게 행동하는 자가 적은 것이 하나도 이상할 게 없다.” 하고는 마침내 이 일을 장자(張子, 나이가 많은 현명한 윗어른)에게 이야기하였다.
장자가 대답하였는데, 그 말이 이러하였다. “관찰력이 대단하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나 역시 해 줄 말이 있다. 홍범(洪範 《서경》의 편명)에서 오행(五行)을 논할 때 목(木)에 대해서는 그 속성이 구부러지고[曲] 바르다[直] 하였다. 그러고 보면 나무가 굽었을 경우 재목으로는 쓸 수 없을지 몰라도 속성으로 볼 때는 원래가 그러한 것이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는 태어날 때부터의 속성이 바르기만 하니 바르게 행하지 않고도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요행히 면한 것이라고나 해야 할 것이다. 그러고 보면 사람으로 태어나 정직하게 살아가지 않는데도 죽음을 면하는 것 역시 요행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내가 세상을 보건대, 나무가 구부러졌을 경우는 비록 보잘것없는 목수라 하더라도 가져다 쓰는 법이 없지만, 사람이 곧지 못할 경우에는 아무리 정치를 잘 하는 시대라 하더라도 내버리고 쓰지 않은 적이 없다. 자네도 큰 건물을 한 번 보게나. 마룻대나 기둥이나 서까래는 말할 것도 없고 구름 모양으로 꾸미거나 물결처럼 장식할 경우에도 구부러진 재목이 있는 것을 보지를 못하였다.
이번에는 조정을 한 번 보게나. 공경(公卿)과 사대부(士大夫)로서 화려한 관복(官服)을 입고는 조정에서 거드름을 피우는 자들치고 바른 도(道, 사람됨의 도리)를 소유한 자는 보지를 못하였다. 이처럼 구부러진 나무는 늘 불행하지만 비뚤어진 사람은 마냥 행복하기만 하다(옮긴이 註: 원문은 '是木之曲者常不幸。而人之曲者常幸也' 이다. 문장 전체의 흐름상, '굽은 나무는 목수의 눈에 들어 큰 재목으로 사용되지 못함이 늘 불행하고, 마음이 비뚤어진 사람은 밖으로 드러낸 겉모습만으로는 사람됨을 잘 알 수 없어서 외양을 잘 꾸미고 비뚤어진 채로 그럭저럭 살 수도 있고 기회를 잘타는 것만으로도 부귀영화의 기회도 잡을 수 있으니 그 처지를 본다면 늘 다행으로 여긴다'는 의미). ‘활줄처럼 곧으면 길가에서 죽고 갈고리처럼 굽으면 공후(公侯)에 봉해진다.'(直如絃 死道邊 曲如鉤 封公侯-전래동요 後漢書 五行志 1)는 말도 있지 않은가? 이 말을 통해서도 곡사(曲士, 비뚤어진 선비)가 곡목(曲木, 굽은 나무)보다 대우를 받는다는 것을 징험할 수 있을 것이다.”
-장유(張維, 1587∼1638), '구부러진 나무에 관한 설[曲木說]', 『계곡집(谿谷集)/ 계곡선생집 제4권/설(說)』-
▲원글출처: ⓒ 한국고전번역원 ┃ 이상현 (역) ┃ 1994
'고전산문 > 계곡 장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군자가 세속의 유행을 따름에 대하여 (0) | 2017.12.28 |
---|---|
[고전산문] 마음쓰는 일을 멈춰서는 안된다 (0) | 2017.12.28 |
[고전산문] 우물 안 개구리와 여름 벌레 (0) | 2017.12.28 |
[고전산문]청백안설(靑白眼說): 백안시(白眼視)할 수밖에 없는 이유 (0) | 2017.12.28 |
[고전산문] 소인배(小人輩)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0) | 2017.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