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이상한 관상장이의 안목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어떤 관상장이가 있었는데, 그는 상서(相書)를 읽거나, 상규(相規)를 따르지도 않고서 이상한 상술로 관상하였다. 그래서 이상자(異相者)라 하였다. 점잖은 사람, 높은 벼슬아치,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앞을 다투어서 초빙도 하고 찾아도 가서 상을 보았다.
그 관상장이는 부귀하여 몸이 비대하고 윤택한 사람을 관상하면서는, “당신 용모가 매우 수척하니 당신처럼 천한 족속이 없겠습니다.” 하고, 빈천하여 몸이 파리한 사람을 관상하면서는, “당신 용모가 비대하니 당신처럼 귀한 족속은 드물겠소.” 하고, 장님을 관상하면서는, “눈이 밝겠소.”하고, 달음질을 잘하는 사람을 관상하면서는, “절름발이라 걷지 못하는 상이오.” 하고, 얼굴이 잘생긴 부인을 관상하면서는, “아름답기도 하고 추하기도 한 상이오.” 하고, 세상에서 관대하고 인자하다고 일컫는 사람을 관상하면서는, “만민을 상심하게 할 상입니다.”하고, 시속에서 매우 잔혹한 사람이라고 일컫는 자를 관상하면서는, “만인의 마음을 기쁘게 할 상이오.” 하였는데, 그의 관상은 거의 이런 식이었다.
다만, 의복(倚伏,길흉화복이 서로 뒤엉키고 맞물려 돌고 도는 것)의 소자출(所自出,사물발생의 근본원인)도 잘 말할 줄 모를 뿐 아니라, 상대방의 동정을 살피는 데도 모두 틀리게 보았다. 그러자 뭇사람들은 그를 사기꾼이라 떠들어대며 잡아다가 그 거짓을 심문하려 하였다.
나는 홀로 그것을 말리면서 말하기를, “무릇 말에는 앞서는 딱딱하게 하다가 뒤에서는 순탄하게 하는 말도 있고, 겉으로 듣기에는 퍽 천근하나 이면에는 장원한 뜻을 내포하고 있는 말도 있는 것이다. 저도 역시 눈이 있는 사람인데, 어찌 비대한 사람, 수척한 사람, 눈먼 사람임을 몰라서 비대한 사람을 수척하다 하고 수척한 사람을 비대하다 하며, 눈먼 사람을 눈 밝은 사람이라 하였겠는가?
이것은 필시 기이한 관상이리라.” 하고, 이에 목욕하고 의복을 단정히 입고서 그 관상장이의 우거한 곳에 갔더니, 그는 좌우에 있던 사람들을 모두 자리를 피하게 하고서 말하기를, “나는 모모한 사람을 관상하였습니다.” 하기에, “모모한 사람이란 어떠한 사람이오.”하였더니, 그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부귀하면 교만하고 능멸하는 마음이 자랍니다. 죄가 충만하면 하늘은 반드시 엎어버릴 것이니, 장차 알곡은 커녕 쭉정이도 넉넉지 못할 시기가 닥칠 것이므로 ‘수척하다’ 한 것이고, 장차 하락하여 필부의 비천이 될 것이므로 ‘당신 족속이 천할 것이다’ 한 것입니다. 빈천하면 뜻을 굽히고 자신을 낮추어 공구수성(恐懼修省,어렵고 두려움에 처할 수록 자신을 수양하고 돌아봄. 주역에 나옴)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막힌 운수가 다하면 터진 운수가 반드시 돌아오는 법이니 육식할 징조가 이미 이르렀으므로 ‘비대하다’고 한 것이고, 장차 만 석(石)의 녹을 누릴 귀(貴)가 있을 것이므로 ‘당신 족속이 귀할 것이다’ 한 것입니다.
요염한 여색이 있으면 쳐다보고 싶고 진기한 보배를 보면 가지려 하며, 사람을 미혹시키고 왜곡되게 하는 것은 눈인데, 이로 말미암아 헤아리지 못할 욕(辱)을 받기까지 하니 이는 밝지 못한 자가 아니겠습니까? 오직 장님이라야 마음이 깨끗하여 아무런 욕심이 없고 몸을 보전하고 욕됨을 멀리하는 것이 현자(賢者)나 각자(覺者)보다 훨씬 낫습니다. 그래서 ‘밝은 자’ 라고 한 것입니다. 날래면 용맹을 숭상하고 용맹스러우면 대중을 능멸하며, 마침내는 자객(刺客)이 되기도 하고 간수(姦首)가 되기도 합니다. 정위(廷尉)가 이를 가두고 옥졸(獄卒)이 이를 지키며 차꼬가 발에 채워지고 형틀이 목에 걸려지면 비록 달음질하려 하나 달음질할 수 있겠습니까? 그래서 ‘절름발이라 걸을 수 없는 자’라 한 것입니다.
무릇 색이란 음란한 자가 보면 구슬처럼 아름답고, 정직한 자가 보면 진흙처럼 추하므로 ‘아름답기도 하고 추하기도 하다’ 한 것입니다. 이른바 인자한 사람이 죽을 때에는 사람들이 사모하여 마치 어린애가 자모(慈母)를 잃은 것처럼 눈물을 흘립니다. 그래서 ‘만인을 상심하게 할 것이다’ 한 것입니다. 이른바 잔혹한 자가 죽으면 도로와 항간에서 노래를 부르며 양고기와 술로 서로 하례하고 입이 째져라 하고 웃는 사람도 있고, 손이 터져라 하고 손뼉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 ‘만인을 기쁘게 할 것이다’ 한 것입니다.”
나는 놀라 일어서며 말하기를, “과연 나의 말과 같구나. 이것이 실로 관상의 기이한 것이다. 그의 말은 명(銘, 마음에 새김)이나 규(規, 기준으로써의 규칙)를 삼을 수 있는 것이다. 어찌 그가 안색과 모습에 따라 귀상(貴相)에 대해서는 귀문서각(龜文犀角, 거북무늬와 코뿔소뿔처럼 귀한 것)이라 하고, 악상(惡相)에 대해서는 봉목시성(蜂目豺聲, '벌침처럼 독하고 매서운 눈과 승냥이의 목소리')이라 하여, 잘못된 데 얽매이고 상례(常例)를 답습하면서 스스로 성스러운 체하고 스스로 신령한 체 하는 자들에게 비하겠는가?” 하고, 물러나와서 그의 대답한 말을 적는다.
-이규보(李奎報,1168~1241), '이상한 상술(相術)을 가진 관상장이의 답변(異相者對)' 『동국이상국전집 제20권/ 잡저(雜著)』-
▲원글출처: ⓒ 한국고전번역원 ┃ 김동주 (역) ┃ 1978
'고전산문 > 백운거사 이규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게으름 병 (0) | 2018.01.04 |
---|---|
[고전산문]슬견설(虱犬說): 한쪽으로만 치우친 감정에 대하여 (0) | 2018.01.04 |
[고전산문]미친 듯이 보이나 그 뜻이 바른 것 (0) | 2018.01.04 |
[고전산문]방선부(放蟬賦): 거미줄에 걸린 매미를 풀어 준 까닭 (0) | 2018.01.04 |
[고전산문] 진정 두려워해야 하는 것 (0) | 2018.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