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마음이 바른 것을 얻지 못하는 4가지 원인
몸에, 분(忿)하고 노여워하는(懥 성낼 치)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하고,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하며,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하고, 근심하고 걱정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한다. 《대학》 전(傳) 7장. 아래도 이와 같다.
정자(程子)가 말하기를, “‘몸에 있다고(身有)’ 할 때의 몸(身)은 마음(心)이 되어야 한다.” 하였다. ○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분치(忿懥)는 노(怒)한다는 것인데, 대개 이 네 가지《분치(忿懥) 분노, 공구(恐懼) 두려움, 호락(好樂)좋아하여 즐김, 우환(憂患) 근심걱정》는 모두 마음의 작용이므로, 사람에게 없을 수 없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마음에 지니고 있으면서 살피지 못한다면, 욕망이 일고, 감정을 가누지 못해 그 작용하여 행하는 바가 바른 것을 잃지 않을 수 없다.” 하였다.
○ 또, “이 네 가지는 무심한 상태에서 표현되도록 해야지 먼저 마음속에 깔려 있게 해서는 안 된다. 만약 노여워할 대상이 있을 때 그 사람이 지은 죄를 놓고 때려 주고는 마음이 이내 편안해진다면 이는 마음에 앙금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 마음이 항상 편치 않다면 바로 이런 마음이 있게 된다.” 하였다.
○ 또, “마음이 조금이라도 물(物, 사물, 외적인 대상)에 얽히면 즉시 동(動)하게 된다. 물(物)에 얽히는 까닭은 세 가지가 있다. 미래(未來)에 기대하는 마음을 가진 것, 일이 다 끝났는데도 아직 마음에 두고 잊지 못하는 것, 일에 응할 때에 치우친 뜻이 있는 것이다. 이 모두가 물(物)에 결박하여 매여 있는 것이다.
어떤 일이 있는데 다른 일이 면전(面前)에 오게 되면 응하는 것이 바로 어긋나니, 어찌하면 마음이 바른 것을 얻겠는가. 성인의 마음은 맑아 텅 비어 밝아서 사물을 볼 때에 크건 작건 4방 8면으로 물(物)에 따라 응하지 않는 것이 없어, 이 마음에 처음부터 그런 일을 둔 적이 없다.” 하였다.
○ 정자(程子)가 단주(澶州)에서 다리를 수리할 때, 긴 들보 하나가 부족하여 널리 민간에 구하였는데, 그 뒤에는 나들이하다가도 숲의 좋은 나무를 보게 되면, 꼭 계산하여 재어 보고 싶은 마음이 일어났다. 그 일로 인해 배우는 사람들에게 경계하기를, “마음에는 한 가지 일[事]도 두어서는 안 된다.” 하였다.
○ 또 말하기를, “자기 자신을 탓하고 나무라는 마음이 없을 수 없으나, 너무 오래 가슴속에 두고 후회해서는 안 된다.” 하였다.(이하생략)
신이 생각건대, 이는 비록 마음을 두느냐 마음을 두지 않느냐 구별이 있지마는, 그 실상은 마음에 편벽되게 얽히는 것이 있기 때문에, 주재(主宰, 주장하여 맡음, 즉 주체성과 비슷한 의미)를 세울 수가 없어서 마음이 있지 않음이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유심과 무심은 두 가지 병폐가 아닌 것입니다.
- 이이(李珥, 1536~1584), '성찰(省察)에 대하여' 중에서, 율곡선생전서 제21권/ 성학집요(聖學輯要) 3/ 제2 수기(修己)/제8장 정심(正心) -
▲원글출처: ⓒ 한국고전번역원 ┃ 권오돈 권태익 김용국 김익현 남만성 성낙훈 안병주 이동환 이식 이재호 이지형 하성재 (공역) ┃ 1968
'고전산문 > 율곡 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배움을 방해하고 마음을 해치는 나쁜 습관 8가지 (0) | 2018.01.06 |
---|---|
[고전산문] 헛된 비방을 그치게 하는 방법 (0) | 2018.01.06 |
[고전산문] 허물을 고치는 것에 대하여 (0) | 2018.01.06 |
[고전산문] 소리가 같으면 서로 응한다 (0) | 2018.01.06 |
[고전산문] 문장을 배운 적이 없다 (0) | 2018.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