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 오학론(五學論)

이 세상을 주관(主管)하면서 온 천하를 배우(俳優)가 연극을 연출하는 것과 같은 기교로 통솔하는 것이 과거학...

[고전산문] 용모로 사람을 판단하고 취하는 어리석음

상(相 용모(容貌)를 말함)은 익히는 것[習]으로 인하여 변(變)하고, 형세는 상(相)으로 인하여 이루어지는...

[고전산문] 문장은 외적인데서 구할 수 없는 것

문장학(文章學)은 사도(斯道 유교의 도리와 도덕)의 큰 해독이다. 이른바 문장이란 어떤 것인가. 문장이라는 ...

[고전산문] 술수학(術數學)은 학문이 아니라 사람을 미혹하는 술책이다

술수학(術數學)은 학문이 아니라 혹술(惑術, 사람을 미혹하는 술책)이다. 한밤중에 일어나 하늘을 쳐다보고 뜰...

[고전산문] 시(詩)라는 것은 뜻을 말하는 것

도연명의 감피백하시(感彼柏下詩)를 보면 평소 혜원(慧遠, 진나라 때 유학 에 정통했던 승려)의 현론(玄論, ...

[고전산문] 원정(原政): 정치란 무엇인가?

정(政)의 뜻은 바로잡는다(正)는 말이다. 똑같은 우리 백성인데 누구는 토지의 이택(利澤)을 겸병(兼幷)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