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자기 허물을 고칠 수 있어야

자기의 허물만 보고 남의 허물은 보지 않는 이는 군자이고, 남의 허물만 보고 자기의 허물은 보지 않는 이는 소인이다. 몸을 참으로 성실하게 살핀다면 자기의 허물이 날마다 앞에 나타날 것인데, 어느 겨를에 남의 허물을 살피겠는가. 남의 허물을 살피는 사람은 자기 몸을 성실하게 살피지 않는 자이다. 자기 허물은 용서하고 남의 허물만 알며 자기 허물은 묵과하고 남의 허물만 들추어내면 이야말로 큰 허물이다. 이 허물을 고칠 수 있는 자라야 바야흐로 허물이 없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신흠(申欽, 1566∼1628), '검신편(檢身篇)', 상촌집(象村集)/상촌선생집 제39권 내집 제1/ 잡저(雜著)1- ▲원글출처: ⓒ 한국고전번역원 ┃ 이상현 (역) | 1990

[고전산문] 세가지 즐거움

일은 마음에 흡족하게 될 때 전환할 줄 알아야 하고, 말은 자기 뜻에 차게 될 때 머물러 둘 줄 알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허물과 후회가 자연히 적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속에 음미할 것이 무궁무진하게 되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사람이 살아가면서 하루에 착한 말을 한 가지라도 듣거나 착한 행동을 한 가지라도 보거나 착한 일을 한 가지라도 행한다면, 그날이야말로 헛되게 살지 않았다고 할 것이다...해야 할 일이 있고 해서는 안 될 일이 있는 것, 이것은 세간법(世間法)이고, 할 일도 없고 해서는 안 될 일도 없는 것, 이것이 출세간법(出世間法)이다. 옳은 것이 있고 그른 것이 있는 것, 이것은 세간법이고, 옳은 것도 없고 옳지 않은 것도 없는 것, 이것은 출세간법이다 문을 닫고 마음에 맞는 책을 읽..

[고전산문]말해야 할 때와 침묵해야 할 때를 아는 것

말해야 할 때 침묵을 지키는 것도 그르고 침묵해야 할 때 말하는 것도 그르다. 반드시 말해야 할 때 말을 하고 침묵해야 할 때 침묵하는 것은 오직 군자이다. 군자가 침묵할 때는 마치 현묘한 하늘과 같고 깊은 못과 같고 흙으로 만든 소상과 같으며, 말을 할 때는 구슬과 옥 같고 혜초와 난초 같고 종과 북 같다. 현묘한 하늘은 바라보아도 그 끝이 보이지 않으며, 깊은 못은 굽어보아도 그 밑이 보이지 않으며, 흙으로 만든 소상은 대면해도 그 게으른 용모를 볼 수 없다. 구슬과 옥은 면류관의 장식을 할 수 있으며, 혜초와 난초는 향으로 피울 수 있으며, 종과 북은 하늘과 땅에 바칠 수 있으니 진귀하지 않으며 중요하지 않은가. 마른 나무처럼 침묵하고 배우와 같이 말하는 것을 나는 보고 싶지 않다. -신흠(申欽, ..

[고전산문] 군자와 소인의 차이

다스려지는 세상이라고 해서 소인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세상이 다스려지면 소인이 마음대로 하지를 못하고, 어지러운 세상이라고 해서 군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군자가 뜻을 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군자가 소인을 다스릴 때는 항상 여유를 두기 때문에 소인이 틈을 엿보다가 다시 일어날 수 있지만, 소인이 군자를 해칠 때에는 늘 참혹하게 하기 때문에 하나도 남김없이 멸절되고 만다. 그러다가 쇠퇴한 세상이 되고 보면, 소인을 제거하는 자도 곧 소인으로서 하나의 소인이 물러나면 다른 소인이 나아오니, 이기고 지는 자들 모두가 소인일 따름이다. 군자는 진출했을 때의 모습이 물러가 있을 때와 같은 데 반하여, 소인은 물러가 있을 때의 모습이 진출할 때의 그것과 같다. 군자는 말을 할 때의 모습이 침..

[고전산문] 다스림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장차 어지러워지려고 할 때는 다스리기가 어렵고 이미 어지러워진 뒤에는 다스리기가 쉽다. 장차 어지러워지려고 한다는 것은 위에서는 방자하여 경계할 줄을 모르고 아래에서는 아첨만 하고 바로잡을 줄을 모르므로 한없이 흘러가기만 하고 휩쓸려 나아가기만 할 뿐이다. 그러므로 비록 성인의 지혜가 있다 하더라도 그 무너져가는 형세를 막을 수 없으며 비록 뛰어난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그 도랑을 막을 수 없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말하면 요망한 말이라고 하고 일을 당하여 말하면 헐뜯는 말이라고 하며, 총애한 사람을 논하면 모함한다고 물리치고 은폐된 간악을 논하면 곧은 이름을 얻으려 한다고 물리치며, 당연히 옳다고 해야 할 것을 옳다고 하면 옳지 않다고 하면서 반드시 자기가 옳게 여기는 것으로 옳다고 하고, 당연히 그르다..

[고전산문]참과 거짓의 분별

흰 것을 희다고 한 것은 참이고 흰 것을 검다고 한 것은 거짓이다. 그 참과 거짓은 어린아이도 즉시 알 수 있으나 소경은 알 수 없고, 쇠북(종)을 쇠북이라고 한 것은 참이고 쇠북을 경쇠(방울)라고 한 것은 거짓이다. 그 참과 거짓은 어리석은 사람도 곧 분변하지만 귀먹은 자는 알 수 없는데, 가린 바가 있기 때문에 현혹되는 것이다. 작게 가려지면 작게 현혹되고 크게 가려지면 크게 현혹되는데, 작게 가려진다는 것은 흑백 또는 쇠북(종)과 경쇠(방울)의 유(類)이며, 크게 가리려진다는 것은 천하 국가의 기틀이다. 어진이를 간사하다고 하고 간사한 사람을 어질다고 하는 것이 거짓이니, 흰 것을 검다 하고 쇠북을 경쇠(방울)라고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임금이 더러 깨닫지 못하기도 하는데 심하면 왕망(王莽)..

[고전산문] 무덤을 파헤치는 것보다 더 매서운 것

선비란 뜻을 고상하게 가지며, 배움을 돈독하게 하며, 예절을 밝히며, 의리를 지니며, 청렴을 긍지하며, 부끄러워할 줄 아는 것인데 또한 세상에 흔하지 않다. 선비로서 선비의 행실을 가진 자를 유(儒)라고 하는데 공자(孔子)께서 이른바 ‘유행(儒行)’이 바로 이것이다. 옛날의 유자(儒者)들은 둥근 관을 써서 하늘을 본받고 모가 난 신을 신어 땅을 본받고 구슬을 차 과단을 본받고 일마다 반드시 상(象, 정해진 법칙, 규례)을 따르는데 상(象)은 도(道, 도덕, 도리, 이치)에 어긋나지 않는다. 수사(洙泗)의 저작*과 염락(濂洛)의 저술*은 물론 논할 것이 없지만 그 밖에 직하 선생(稷下先生 전국 시대 제 나라 사람)처럼 호방한 변론과 이야기로 사물에 적응하여 규각을 드러내지 않고 방자 방종하면서 남을 비웃는..

[고전산문] 입 있어도 말 않으니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

입 있어도 말 않으니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요(有口不言無口同)원한 있어도 풀지 못하고 가슴만 메우는데(有寃莫洩空塡胸)태양은 무슨 일로 청천 가운데 있는 걸까(白日何事靑天中)위에 하늘 아래는 땅 그 전부가 그물인데(上天下地爲網羅)활에다 주살에다 칼과 창까지 등장했으니 (弓弩畢弋兼刀戈)갈 곳 없는 새와 짐승 어찌 하란 말이더냐(飛走路絶其如何)꿈 같은데 꿈이 아닌게 인간 세상이요(似夢非夢人間世)취하지 않고도 취한 척 하는게 인간들이니(不醉而醉人間人)취했는가 꿈이런가 어느게 과연 진짜인가(醉兮夢兮誰是眞) -신흠(申欽,1566~1628년), '잡언삼구(雜言三句)'/(번역 출처: 한국고전번역원, 양홍렬 번역)-

[고전산문] 두 갈래 길

내 소싯 적에 사서(史書)를 읽으면서, 옛 분들이 고난의 시기를 당하여서도 훌쩍 떠나지 못하고 두리번거리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음을 보아왔는데, 아부 잘하고 속세에 푹 빠진 자야 말하잘 것도 없지마는 명현(사리가 밝고 어진 사람, 明賢 또는 名賢)이라는 이도 준사(俊士, 재주와 슬기가 매우 뛰어난 사람)ㆍ철인(哲人,품성이 어질고 사리에 밝은 사람)도 가끔은 그 오욕을 면하지 못한 이가 있었으며, 더러는 불결한 세상이 싫어서 매미처럼 청고하게 속세 밖을 떠돌면서 자기 자신을 세상 밖에다 내놔 버린 이도 있었다. 따라서 그들이 취한 길은 비록 각기 다르지만 그들 세상살이가 불행했던 점은 같은 것으로 그 마음과 자취를 더듬어 볼 때 사실 슬픈 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내 저으기 그 두 길을 놓고 혼자서 말을..

[고전산문]군자와 소인의 나뉨은 성(誠)과 위(僞), 실(實)과 명(名)의 차이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너는 군자유(君子儒, 자기를 수양하고 자아실현을 위한 학문, 즉 위기지학(爲己之學)을 하는 사람)가 되고 소인유(小人儒, 남에게 보이려는 학문, 즉, 위인지학(爲人之學)을 하는 사람)가 되지 말아라.” 하였는데, 군자와 소인의 나뉨은 성(誠)과 위(僞), 실(實)과 명(名)의 차이에 불과할 뿐이다. 성(誠)이란 천리(天理)에서 발현되어 자연스럽기 그지없는 것이요 속 마음에서 우러나와 아무 꾸밈이 없는 것이다. 말은 무슨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닌데도 행동을 돌아보아야 하고, 행동은 어떻게 하려는 의식이 없는데도 이목구비가 모두 바르게 되어야 한다. 성의가 넘쳐 돈후(인정이 두텁고 온후함)하게 되면서 거추장스러운 형식은 없어져 버리고 아름다운 위의(威儀,, 태도나 몸가짐이 바르고 위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