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헛된 비방을 그치게 하는 방법

나를 훼방하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돌이켜 자신을 살펴보아야 한다. 만일 내가 정말 훼방을 받을 만한 행동을 한 적이 있었다면 스스로를 꾸짖어 허물을 고치기를 꺼리지 말고, 만일 나의 과실이 매우 적은데 그가 보태어 말했다면 그의 말이 지나쳤더라도 나에게 실로 훼방받을 근거가 있었으니, 역시 전날의 잘못을 철저하게 끊어 털끝만큼도 남기지 말아야 하고, 만일 나에게는 본래 허물이 없는데, 헛된 말을 지어낸 것이라면 그는 망녕된 사람일 뿐이니 망녕된 사람과 어찌 허실(虛實)을 따지겠는가. 그리고 헛된 비방은 바람이 귓가를 스치고 구름이 허공에 떠 있는 것과 같으니 나와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이러고 보면 비방이 생겼을 때 내게 허물이 있으면 고치고 없으면 허물을 안 짓도록 더욱 힘쓸 것이니 나에게 유익하지 않..

[고전산문] 허물을 고치는 것에 대하여

허물을 부끄럽게 여겨서 아닌 것처럼 조작하지 말라. 《서경(書經)》 〈열명(說命)〉. 채씨(蔡氏)가 말하기를, “허물(過誤, 과오)은 우연히 생기는 것이지만, 그것을 허물이 아닌 것처럼 조작하는 것은 고의(故意)에서 나온다.” 하였다.자공(子貢)이 말하기를, “군자의 허물은 일식(日食)이나 월식(月食)과도 같아서, 허물이 있을 때는 사람들이 다 볼 수 있고, 고치면 사람들이 모두 우러러본다.” 하였다. 《논어》 아래도 이와 같다.면재 황씨(勉齋黃氏 황간(黃榦))가 말하기를, “허물이 있을 때는 명백하게 드러나서 덮거나 가리움이 없으므로 사람들이 다 볼 수 있으며, 허물을 고치고 나면 맑고 투명해져서 티나 흠(瑕疵)이 없으므로 사람들이 다 우러러본다.” 하였다. 자하(子夏)가 말하기를, “소인(小人)은 허..

[고전산문] 마음이 바른 것을 얻지 못하는 4가지 원인

몸에, 분(忿)하고 노여워하는(懥 성낼 치)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하고,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하며,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하고, 근심하고 걱정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른 것을 얻지 못한다. 《대학》 전(傳) 7장. 아래도 이와 같다.정자(程子)가 말하기를, “‘몸에 있다고(身有)’ 할 때의 몸(身)은 마음(心)이 되어야 한다.” 하였다. ○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분치(忿懥)는 노(怒)한다는 것인데, 대개 이 네 가지《분치(忿懥) 분노, 공구(恐懼) 두려움, 호락(好樂)좋아하여 즐김, 우환(憂患) 근심걱정》는 모두 마음의 작용이므로, 사람에게 없을 수 없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마음에 지니고 있으면서 살피지 못한다면, 욕망이 ..

[고전산문] 소리가 같으면 서로 응한다

무릇 사람을 접대하는 데는 마땅히 온화하고 공경하기에 힘써야 한다. 나이가 나보다 배가 되면 아버지처럼 섬길 것이요, 10년이 위이면 형으로 모시고, 5년 위라도 조금은 공경해야 하고, 학문을 믿고 자신을 높이거나 기운을 으뜸으로 알고 남을 능멸해서는 안 된다. 벗을 선택하되 반드시 학문을 좋아하고 착한 것을 좋아하며, 바르고 엄숙하며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을 취하여, 그와 함께 있으면 규계(規戒, 바르게 경계함)를 허심탄회하게 받아들여 나의 결함을 고치고, 만일 (벗으로) 취한 자가 게으르고 장난을 좋아하며 유약하여 말이나 잘 꾸미고 정직하지 못한 자라면 사귀어서는 안 될 것이다. 마을 사람으로 착한 자는 반드시 친근히 하여 서로의 사정을 알고 지내고, 고향 사람으로 착하지 못한 자도 나쁜 말로 그의 비..

[고전산문] 문장을 배운 적이 없다

(상략) 상(선조임금)께서 이이에게 이르기를, “일찍이 무슨 글을 읽었으며 제일 좋아하는 것은 무슨 글인가?” 하니, 대답하기를, “과거를 준비할 때에 읽은 것은 안 읽은 것이나 같습니다. 학문에 뜻을 두면서 《소학》부터 읽어 《대학》ㆍ《논어》ㆍ《맹자》에 이르렀는데, 아직 《중용》까지는 못 읽었습니다. 다 읽고서 다시 시작하여 반복하였으나 아직도 통달하여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육경(六經)까지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하였다.(옮긴이 주: 이 때가 1574년이니 율곡선생의 연세는 38세다. 선생의 행장에 의하면, 글을 배우기 시작한 나이가 8세였다. 그리고 23세에 퇴계선생과 교유하고 학문을 주고 받으면서, "거경(居敬)ㆍ궁리(窮理)와 《중용(中庸)》ㆍ《대학(大學)》의 집주(輯註)와 〈성학십도(聖學十圖)〉 ..

[고전산문] 감사론(監司論): 큰 도적을 제거하지 않으면 백성이 다 죽을 것이다

밤에 담구멍을 뚫고 문고리를 따고 들어가서 주머니를 뒤지고 상자를 열어 의복ㆍ이불ㆍ제기(祭器)ㆍ술그릇 등을 훔치기도 하고 가마솥을 떼어 메고 도망하는 자가 도적인가? 아니다. 이는 굶주린 자가 배고픈 나머지 저지른 것이다. 칼과 몽둥이를 품에 품고 길목에 기다리고 있다가 길가는 사람을 가로막고 소ㆍ말과 돈을 빼앗은 다음 그 사람을 찔러 죽임으로써 증거를 없앤 자가 도적인가? 아니다. 이는 단지 본성(本性)을 잃은 어리석은 자의 소행일 뿐이다. 수놓은 언치를 깐 준마를 타고 하인 수십 명을 데리고 가서 횃불을 벌여 세우고 창과 칼을 벌여 세운 다음 부잣집을 골라 곧장 마루로 올라가 주인을 포박, 재물이 들어 있는 창고를 전부 털고 나서는 창고를 불사른 다음 감히 말하지 못하도록 거듭 다짐을 받는 자가 도적..

[고전산문] 종일 시끄럽게 떠들어도 금하지 않는 것

내가 초천(苕川)의 농막(墅 농막 서, 농사짓는 데 편리하도록 논밭 근처에 간단하게 지은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날마다 형제ㆍ친척과 유산(酉山)의 정자에 모여 술을 마시고 오이를 먹으면서 시끄럽게 지껄이는 것으로 낙을 삼았다. 술이 얼큰하게 오르자, 어떤 사람이 술병을 두드리고 술상을 치면서 일어나 말하기를, “어떤 사람은 이익을 좋아하여 부끄러운 줄을 모르고, 권세와 영화를 잡는 데 미혹되어 있으니 가슴 아픈 일이며, 어떤 사람은 담담하게 인적을 멀리하고 자취를 감춰 현달하지 못하니 애석한 일이다.”하였다. 나는 벌주 한 잔을 부어 꿇어앉아 권하기를, “옛날에 반고(班固)는 지나간 사람들을 품평(品評)하고는 마침내 두헌(竇憲)의 잘못에 연루되었고, 허소(許劭)는 당시의 사람을 품평하여 마침내 조조(曹操..

[고전산문] 시(詩)의 근본

『오늘날에 있어서 시율(詩律)은 마땅히 두공부(杜工部 두보(杜甫)를 가리킴)로써 공자(孔子)를 삼아야 한다. 그의 시가 백가(百家)의 으뜸이 되는 까닭은 《시경》 3백 편의 유의(遺意)를 얻었기 때문이다. 《시경》 3백 편은 모두 충신, 효자, 열부(烈婦), 양우(良友)들의 진실하고 충후한 마음의 발로이다. 임금을 사랑하고 나라를 근심하지 않은 것이라면 시가 아니요, 시대를 슬퍼하고 세속을 개탄하지 않은 것이라면 시가 아니며, 높은 덕을 찬미하고 나쁜 행실을 풍자하여 선을 권하고 악을 징계한 것이 아니라면 시가 아니다. 그러므로 뜻이 서지 않고 학문이 순전하지 못하며 대도(大道)를 듣지 못하여, 임금을 요순(堯舜)의 성군으로 만들어 백성들에게 혜택을 입히려는 마음을 갖지 못한 자는 시를 지을 수 없는 것..

[고전산문] 학문의 방법

‘용모를 움직임’[動容貌 동용모], ‘말을 함’[出辭氣 출사기], 안색을 바로하는 것’[正顔色 정안색]이 학문을 하는 데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니, 진실로 이 세 가지에 힘을 쓰지 못한다면 아무리 하늘을 꿰뚫는 재주와 남보다 뛰어난 식견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끝내 발을 땅에 붙이고 다리를 세울 수 없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 폐단은 말을 함부로 하고 멋대로 행동하여 도적이 되고 큰 악(惡)이 되며 이단(異端)과 잡술(雜術)이 되어서 세상에 못하는 일이 없게 된다. 나는 ‘삼사(三斯)’로써 서재(書齋)에 이름하고자 하는데, 이는 '거칠고 태만함을 멀리하며[斯遠暴漫 기원폭만], 비루하고 패려함을 멀리하며[斯遠鄙倍 기원사배], 진실에 가깝게 한다[斯近信 기근신]' 함을 이름이다. 지금 너를 덕에 나아가게 하..

[고전산문] 마음 속에 보답을 바라는 근성을 버려라

여러 일가 중에 며칠째 밥을 짓지 못하는 자가 있을 때 너희는 곡식을 주어 구제하였느냐. 눈 속에 얼어서 쓰러진 자가 있으면 너희는 땔나무 한 묶음을 나누어주어 따뜻하게 해 주었느냐. 병이 들어 약을 복용해야 할 자가 있으면 너희는 약간의 돈으로 약을 지어 주어 일어나게 하였느냐. 늙고 곤궁한 자가 있으면 너희는 때때로 찾아 뵙고 공손히 존경을 하였느냐. 우환(憂患)이 있는 자가 있으면 너희는 근심스러운 얼굴빛과 걱정스러운 눈빛으로 우환의 고통을 그들과 함께 나누어 잘 처리할 방도를 의논해 보았느냐. 이 몇 가지 일을 너희들은 하지 못했으면서 어떻게 여러 집안에서 너희들의 급박하고 어려운 일에 서둘러 돌보아 주기를 바랄 수 있느냐. 내가 남에게 베풀지 않은 것을 가지고 남이 먼저 나에게 베풀어주기를 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