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고전산문] 문장이 아닌 오직 그 사람을 볼 뿐이다

문장에는 아(雅)와 속(俗)이 없으니 오직 그 사람을 볼 뿐이다. 인품이 고고(高古)하면 그의 문장은 아(雅)하기를 기약하지 않아도 저절로 아(雅)해지고, 인품이 비하(卑下)하면 그의 문장이 비록 속(俗)을 벗어났다 할지라도 더욱 그 누추함만 드러낼 것이다. 고문(古文)에 뜻을 두었더라도 자가(自家, 자기)의 사람됨을 성취할 것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또한 그의 문장을 성취함도 없을 것이니 노천(老泉은 당송팔대가인 소순 蘇洵의 호다)이 만년(晩年)에 스스로 수립(樹立)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노천은 「상여청주서(上余靑州書)」에서 ‘탈연(脫然)하게 남에게서 버림받고서는 버림받은 것이 슬프다는 것을 알지 못했고, 분연(紛然)하게 남들에게 선택당해서는 선택당한 것이 즐겁다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 사람이 저절..

[고전산문]독노천문 (讀老泉文): 글은 억지로 지을 수는 없다

소순(蘇洵 1009~1060)의 글 중에 '중형문보자설(仲兄文甫字說)*'은 대개 바람과 물이 서로 만나는 자연의 이치를 빌려서 바람과 물이 자주 그 형상을 바꾸는 것을 묘사해 내었다. 이로써 소순은 자신의 문장이 살아 있는 것처럼 드러나는 오묘한 이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장공(長公, 소순의 맏아들, 소식蘇軾)의 이른바 ‘대략 떠가는 구름과 흘러가는 물 같아서 처음에는 정해진 성질(性質)이 없었는데 다만 그 마땅히 해야 할 것을 마땅히 하였다.’ 라는 것과, 차공(次公, 소순의 둘째아들 소철蘇轍)의 이른바 ‘그 기운이 마음 속에 가득차서 외모에서 넘쳐나고, 그 말에서 움직여서 그 문장에 드러났지만 스스로는 알지 못했다’ 라는 것이 모두 이 글에 바탕을 둔 것이다. 무릇 글을 짓는데에는 부득이한 원인이 두 ..

[고전산문] 학문의 묘(妙)는 비우는데 있다

(유종원은) 하진사왕삼원실화서(賀進士王參元失火書)에서 삼원에게 축하하기를, ‘화재로 집이 검게 그슬려버리고 그 담장마저 불타버려 이제 당신이 재물을 가진게 없음이 분명해졌습니다. 이로 인하여 당신의 재능이 분명하게 드러나서 더렵혀지지 않을 것입니다. 이는 비로소 당신의 참 모습이 이제야 드러난 까닭입니다. 이는 축융(祝融 불의 신)이 그대를 도운 것입니다.’라고 했다. 내가 생각하기로, 이 말은 바로 자기가 문장을 익혔던 경험적 사실(事實)을 있는 그대로를 쓴 것이다. 재난을 당한 삼원을 오히려 축하한 것은 곧 자기를 위로하고 스스로 축하했던 경험에 근거한 까닭이다. 어째서인가? 유종원은 초년에 여러 서적들을 폭넓게 읽어 명성이 다양한 예술적인 방면에 널리 알려져 유명했다. 그래서 이미 그 마음에 쌓아 ..

[고전산문] 부모의 자식사랑에는 아들 딸 차별이 있을 수 없다

무릇 천지의 사이에 몸을 두고 있는 자라면 그 누구인들 자식이 되어 양친부모(兩親父母)가 남겨주신 몸을 계승한 자가 아니겠는가. 다만 기맥(氣脈)을 곧바로 전하여 종통(宗統 종가 맏아들의 혈통)으로 삼아야 하기 때문에 아버지의 성(姓)을 따르고 어머니의 성은 따르지 않으며, 집안에 두 높은 분이 없기 때문에 상복(喪服)에 참최복(斬衰服 아버지 상에 입는 상복)과 자최복(齊衰服 어머니 상에 입는 상복)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생성(生成)하고 사랑하여 길러준 은혜에 있어서는 실로 어찌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간격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자식이 어머니에 있어 사랑하고 도와주는 마음이 일찍이 한결같지 않은 것이 아니며, 부모가 아들자식과 딸자식을 사랑하고 예쁘게 여기는 정이 일찍이 차이가 있지 않으니, 이..

[고전산문]비록 높은 재주와 아름다운 자질일지라도 절차탁마의 과정을 거쳐야

문집(文集 시나 문장을 모아 엮은 책)이 세상에 나오는 것은 고금(古今)을 통하여 모두 몇 가(家)에 불과한데 세상에 전하여 행해짐은 넓고 좁음과 오래고 가까움의 차이가 없지 못하다. 이것은 어찌 사람들의 좋아하는 것에 천심(淺深 얕음과 깊음)이 있고, 숭상하는 것에 경중(輕重, 가벼움과 무거움,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좋아하고 숭상함에 천심과 경중이 있는 것은 비단 그 문장의 기운에 높고 낮음이 있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그 뜻에 정밀하고 거칢이 있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문장은 장구(章句)를 전공하는 자들도 흉내내어 만들 수가 있으나, 정미한 의리로 말하면 식견이 투철하고 조예(造詣)가 깊은 사람이 아니면 할 수 없으니, 사람의 천성에서 우러나와 공공적(公共的)으로 취..

[고전산문] 엉터리를 가려내는 방법

제나라 선왕이 악공들에게 피리를 불게 할 때면 항시 300명을 합주하게 했다. 성밖 남쪽에 살고 있는 풍각쟁이들이 왕을 위해서 퉁소를 불겠다고 나서게 되자 선왕이 기뻐하며 쌀을 주어 초청을 했더니 피리 불 사람이 수 백 명이나 되었다. 세월이 흘러 민왕이 군주가 되었는데 독주를 좋아했다. 그러자 퉁소를 불던 자들이 모두 도망치고 말았다. 그들 가운데 엉터리가 많았던 것이다. 일설에 의하면 한나라의 소후가 이렇게 말했다. “피리를 부는 자는 많은데 누가 잘 부는지 알 수 없구나.” 전엄이 말했다.“한 사람씩 불도록 시켜보십시오.” - 한비자 제30편 내저설(상)- ※글출처: 옛글닷컴

[고전산문]여도지죄(餘桃之罪 ): 먹다 남은 복숭아를 먹인 죄

위나라 왕의 측근 중에서 특별히 왕의 총애를 받는 미자하(彌子瑕)라는 잘생긴 소년이 있었다. 어느 날, 어떤 사람이 미자하의 어머니가 병이 나서 위독하다고 미자하에게 알려 주었다. 어머니 걱정에 초조해진 미자하는 왕의 수레를 타고 급히 나갔다. 왕의 명이라 속인 것이다. 그런데 위나라의 법에 왕의 수레를 몰래 탄 자는 월형(刖刑)에 처하도록 되어 있었다. 월형은 톱으로 한쪽 혹은 양쪽 다리의 종아리 아래 부분을 잘라 걷지 못하게 하는 끔찍한 형벌이다. 이 사실을 곧바로 알게 된 왕은 오히려 미자하가 착하고 어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렇게 말했다. “미자하는 진정 효자로구나. 어머니를 위하느라 월형의 죄를 범하는 것도 잊었으니 말이다.” 어느 한 날은 왕을 수행하며 함께 과수원을 산책했다. 잘익은 복숭아..

[고전산문] 천지만물은 인간만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제나라의 대부 전씨가 자기 집 정원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초청객이 천여 명이 되는 큰 잔치였다. 참석한 손님 중에서 생선과 기러기를 선물로 가져온 사람들이 있었다. 전씨가 이 선물을 보고 기뻐하며 좌중을 둘러보며 말했다. “하늘은 특별히 우리 인간에게 후한 은혜를 내려 주셨습니다. 땅에 여러 종류의 곡식을 주어 불어나게 하고, 심지어 물의 생선과 하늘의 날짐승까지 만들어 사람들이 마음껏 사용할 수 있게 하셨으니 말입니다.” 이 말에 여러 손님들도 동감했다. 이 때 뒷자리에 앉아있던 나이가 열두 살 밖에 안 되는 포씨의 아들이 앞으로 나아가 말했다. “제 의견은 주인어르신의 의견과 다릅니다. 천지만물은 본래 우리 인간과 똑같이 생겨났고, 살아 있는 생물이라는 점에서 사람이나 짐승이나 새나 하등 다를 것이 ..

[고전산문] 의심이 의심을 키운다

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렸다. 그는 누군가 훔쳐갔다고 생각했다. 대뜸 이웃집 아들을 의심했다. 그래서 그 아이의 행동을 유심히 살폈다. 아니나 다를까 걸음걸이가 수상했다. 얼굴을 살폈다. 낌새가 달랐다. 평소와 달리 어색하다. 말하는 투도 역시 그러하다. 아이의 행동거지나 태도가 뭔가 다르다. 이를 미루어 보아 이 아이가 도끼를 훔쳐간 도둑이 분명했다. 그래서 옆집아이가 도끼를 훔쳐갔다고 심증을 굳혔다. 그런데 며칠 후 뜻밖에도 잃어버렸던 도끼를 찾았다. 우연히 산길을 지나다가 수풀 사이에서 발견했다. 집에 돌아 온 다음 날. 다시 이웃집 아이의 행동을 관찰했다. 그런데 아무리 살펴봐도 전날의 느낌 하고는 전혀 달랐다. 도끼를 훔쳐간 도둑으로 의심할만 것은 도무지 찾아지지 않았다. -열자(列子), 제8..

[고전산문] 인간세상은 거대한 물결이요, 인심은 거대한 바람이다

손(지나가는 사람)이 주옹(舟翁)에게 묻기를, “그대가 배에서 사는데, 고기를 잡으려니 낚시가 없고, 장사를 하려하니 재화(財貨)가 없고, 진리(津吏) 노릇을 하려해도 중류(中流)에서 머무르고 왕래하지 않는다. 일엽(一葉)의 편주(扁舟)를 헤아리지 못할 물에 띄워 만경(萬頃)의 가없는 곳을 넘다가 바람이 미친 듯이 불고 물결이 놀랜 듯이 밀려와 돛대가 기울고 노가 부러지면, 신혼(神魂)이 날아 흩어지고 몸이 전율에 싸여 생명이 지척 사이에 있게 되니, 지극히 험한 곳을 밟고 지극히 위태한 일을 무릅쓰는 일이로되, 그대는 도리어 이를 즐겨 길이 세상을 멀리하고 돌아오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니 주옹이 말하기를, “아, 손은 생각하지 못하였나. 사람의 마음이란 잡고 놓음이 일정함이 없어서, 평탄한 ..